Comprehensive Review of Indigenous Yeast Species in Korea: A Literature and Culture Collection Analysis

Research article
안 초롱  Chorong Ahn1김 민경  Minkyeong Kim1김 창무  Changmu Kim2*

Abstract

Indigenous yeasts in Korea have been actively studied since 1910 in light of various fields, including environment, food fermentation, brewing, and medicine. However, a complete list of indigenous yeast species has not been addressed or reported.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including yeast isolation from Korean materials and the strains preserved at culture collection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ⅰ) there are 128 genera and 681 species (including 26 variants) of yeast reported in Korea, ⅱ) the reported species were trimmed into 142 genera and 500 species (including 9 variants), ⅲ) among which only 166 species were registered in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2020).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register more indigenous yeast species in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Keyword



서론

효모는 단세포성 진핵생물로 균계(Kingdom Fungi)에 속하며, 출아(budding) 혹은 분열(fission)방식의 무성생식과 감수분열을 통한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이다. 효모는 자낭균문(Ascomycota)과 담자균문(Basidiomycota)에 넓게 분포하는 다계통 그룹이다[1]. 현미경으로 실체가 확인되고 순수분리 된 최초의 미생물인 효모[2]를 인류는 약 9,000년 이전부터 술을 만드는데 이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약 200종의 효모가 전통 음식, 사료, 음료 등의 발효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 바이오에탄올, 단일세포단백질(single cell protein, SCP), 사료, 색소, 효소, 생물정화 등의 생물공학적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생물군이다[4,5].

Kurtzman은 전세계 효모를 조사하여 149속 1,500여 종의 효모를 보고하였다[6]. 효모의 가장 포괄적인 database인 The yeasts (에서는 약 2,000건 이상의 효모 속과 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효모는 균류 종 수의 약 1%를 차지하며, 전체 효모 추정 종 수 약 15,000 종[7]의 13%에 해당하는 종만이 현재까지 과학적 검증을 마친 것으로 새로운 종에 대한 보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전체 균류 추정 종 수가 2001년 150만종[8]에서 2017년 220만-380만종[9]으로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효모의 추정 종 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산 효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910년 일본연구자 Saito [10]가 대한민국의 곡자와 술덧에서 Saccharomyces coreanus를 분리한 것이다. 이후 1930년대 중반까지 국내의 약주, 탁주, 곡자 등에서 효모를 분리하고 양조 특성을 파악하는 등의 연구가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11]. 한국 전쟁을 겪으며 연구의 맥이 끊겼다가 1964년 국내학자로는 처음으로 남궁희[12]가 남부지방의 소주료에서 45주의 Saccharomyces cerevisiaePichia sp.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1960년대에는 주로 전통주(소주, 약주, 탁주 등)에서 효모를 분리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전통주를 비롯하여 포도주, 사과주 등의 주류와 전통발효식품(간장, 고추장, 된장) 등 식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석유를 분해하는 효모와 이를 이용한 산업폐수의 정화연구, 한강의 오염정도와 효모의 상관성 등 환경정화 측면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반면 식품 등이 아닌 야생시료에서 효모를 분리한 최초의 연구는 박명삼과 라철호[13]가 1970년 초파리 내장에서 효모를 분리한 것으로, 박명삼은 이후 다양한 환경시료(꽃, 열매, 수액, 버섯, 해조류)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였다[14,15]. 1980년대에는 젖소에 질병을 일으키는 효모에 관한 수의학적 연구가 시작되었고[16,17], 탄소원(에탄올,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하이드, 전분, 메탄올 등)을 동화하는 특성을 갖는 효모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8-20]. 1990년대에는 효소(alkaline proteinase, fructosyl transferase, glucoamylase)와 생물계면활성제(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21-24], 사람의 임상검체에서 효모를 분리한 연구가 시작되었다[25-28].

효모는 주로 환경과 식품(곡류, 누룩, 장류 등)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밖에 효소생산, 의학 및 수의학 등의 분야에서 소수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활용의 측면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온 반면 신종 보고와 같은 분류학적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국내에서 분리된 효모가 신종으로 처음 보고된 것은 2001년[29,30]이며, 최초의 효모 미기록종 연구는 2012년[31]에 발표된 것으로 국내 효모 분류학 연구의 역사는 길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국내 효모의 다양성 및 종목록과 관련된 연구는 1970년 Park과 Rha[13]가 6종의 효모를 분리한 것이 최초로, 이후 Yu 등[11,32]은 문헌연구를 통해 누룩에서 분리된 효모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1945년 이전까지의 문헌에는 8속 29종이, 1945년 이후에는 8속 18종이 보고되었다. Hyun 등[33]은 섬과 육지의 야생화에서 효모 134종 289균주를 분리하였다고 보고하였으나 134종의 구체적 목록은 제시되지 않았다. 최근 Kim 등[34]은 국내 25지역에서 수집한 꽃에서 효모를 분리한 결과 50종의 효모를 분리, 보고한 바 있다. 이처럼 국내서식 효모 종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간헐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전체 효모 종에 관한 현황 연구 결과는 없는 상황이다.

생물자원은 기초연구는 물론 활용연구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생물자원의 한 형태인 균주는 살아있는 생물자원으로 지속 가능한 이용과 활용도의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다. 효모의 경우 glycerol stock 또는 동결건조 앰플의 형태로 장기보존이 가능한 생물자원이지만 연구 중 분리 배양된 효모가 공인 기탁기관에 보관되지 않거나 관리 부실로 인해 소재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또한 효모는 자연환경은 물론 인체 및 동물의 임상검체, 식품 및 음료 등 분포가 다양하여 여러 연구분야에서 연구되었다. 이에 따라 여러 기탁기관에 효모균주가 산발적으로 보관되어 있어 활용을 위한 접근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Korean Bio-resource Information System, KOBIS; https://www.kobis.re.kr/)[35]을 통해 여러 기관의 정보를 통합하여 검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 기탁기관에 보유중인 효모균주의 현황 전체를 확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 어떤 종들이 학문적으로 보고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https://www.NIBR.or.kr)에서 매년 발표하는 ’국가생물종목록’에 2020년 말 기준[36]으로 기록된 균류는 4,483종이나, 균류의 형태(효모, 버섯, 곰팡이 등)에 관한 기록이 없어 국내 효모종 현황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이는 관련 연구 현황 파악이 아직 미흡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금 세계는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 인정을 통해 각국의 생물자원에 대한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정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ccess and benefit-sharing, ABS)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국내 서식 생물자원을 수집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등, 과학적 자료를 구축하여 생물주권을 확보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37].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효모 종을 확인하고 국가생물종목록에 기재여부를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연구된 효모의 종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국내 유래 소재에서 효모를 분리한 문헌과 균주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균주정보를 수집,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보고된 효모 학명을 목록화하고, 목록에 기재된 종에 대한 최신 분류학적 검토를 통해 현재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 등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효모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과 현황을 파악하여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문헌 정보 수집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https://www.riss.kr),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http://kiss.kstudy.com),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http://www.ndsl.kr), 국회도서관(National Assembly Library; https://www.nanet.go.kr)에서 제목에 “효모” 또는 “Yeast”를 포함하는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중 문헌의 형태가 논문(학술지, 학위논문), 연구보고서에 해당하는 것을 1차로 선별하였다. 특허의 경우 특허정보검색서비스 키프리스(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ormation Service, KIPRIS; http://www.kipris.or.kr)에서 행정상태가 등록이고, "효모"를 발명의 명칭 또는 요약에 포함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의 제목과 초록, 본문 내용을 토대로 국내 소재에서 효모를 순수분리한 문헌을 2차로 선별하였다. 순수분리한 효모를 종소명 수준으로 동정한 문헌을 최종선별하여 문헌에 보고된 종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학술논문에 기재된 정보를 바탕으로, 효모를 분리한 분리원 정보에 기초하여 Kurtzman [5]의 분류를 변형한 다섯가지 범주(동물, 식품, 임상검체, 주류, 환경시료)로 구분하였다. 한 논문에서 2개 이상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경우 “Diverse”로, 분류가 모호한 것은 “기타”로 처리하였다.

기탁기관 보유 균주 목록 수집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KOBIS)에서 제공하는 분양기관(균주센터) 목록 중 효모와 관련된 미생물 균주를 보유하고 있는 분양기관을 선별하였다. 각 분양기관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균주 목록 중 국내유래 소재에서 분리된 효모의 정보를 수집하였다(2020년 4월말기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https://kctc.kribb.re.kr) 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 http://genebank.rda.go.kr), 국립생물자원관 국가미생물배양체은행(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https://species.nibr.go.kr)의 경우, 국내유래 소재에서 분리된 효모의 목록을 기관에 요청하여 제공받았다. 또한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KOBIS)에서는 확인되지 않지만 국내 자생 효모를 보관하고 있는 분양기관을 찾아 보유 효모 목록을 조사하였다.

효모의 현재명 검토

문헌에 기재된 효모의 학명과 기탁기관에서 보유중인 효모의 학명목록을 작성하고, 현재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효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각의 학명에 대한 현재명을 검토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Index fungorum (), 세계균학회(International Mycological Association, IMA)가 운영하는 Mycobank (), Westerdijk institute에서 운영하는 The Yeasts () 이다. 연구자 또는 기관마다 각 종에 대한 현재명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 종에 대해 여러 현재명이 존재할 수 있어 현재명을 특정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Table 1과 같은 기준으로 현재명을 선정하였다.

Table 1. The principle of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selection.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1.png

결과

문헌을 통한 종 정보 수집 결과

국내 유래 소재에서 효모를 분리하고 종소명까지 동정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는 문헌을 검색한 결과, 355편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이 중 학술논문이 21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위논문 55편, 특허 50편, 연구보고서 34편 순으로 나타났다(2020년말 기준). 전체 문헌에서 언급된 효모는 121속 642종(22변종 포함)이었다(Table 2). 이 중 자낭효모는 70속 408종(17변종 포함), 담자효모는 51속 234종(5변종 포함)으로 자낭효모가 63.7%로 담자효모에 비해 많은 종이 보고되었다.

Table 2. Number of yeast species in literature and strains of culture collections.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2.png

The numbers in parentheses are number of variant.

a Reported species, b Applie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from DB.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Fig_KJOM_49_02_06_F1.png

Fig. 1. Type and number of yeast studies published by period

2010년대에 가장 많은 문헌이 발표되어(196편) 효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1). 모든 년대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문헌종류는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이며, 2010년대에 들어 특허와 연구보고서의 비중이 각각 24, 16%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효모 분리·동정 학술논문 216편에서 사용한 분리원을 5개의 대분류로 나누고, 각각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조사한 결과, 환경시료가 43.1% (93편)로 가장 높았으며 식품 20.4% (44편), 주류 17.1% (37편), 임상검체 11.1% (24편), 동물 5.1% (11편)으로 나타났다. 연구 빈도가 가장 높은 종은 Saccharomyces cerevisiae로, 66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으며(Fig. 2A) Cryptococcus laurentii, Candida tropicalis, Rhodotorula mucilaginosa, Aureobasidium pullulans, Rhodotorula glutinis 순으로 많은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전체 학술논문 216편 중 신종발표 논문은 7편, 미기록종 보고 논문은 28편으로 전체논문 중 분류학 분야 논문은 약 16.2%이다. 신종 논문은 2000년대에 5편, 2010년대에 2편 발표되었고 미기록 논문은 2010년대 21편, 2020년대 7편이 발표되었으며, 발표된 신종과 미기록종은 각각 8종, 163종이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Fig_KJOM_49_02_06_F2.png

Fig. 2. Top ten published species of academic papers (A) and preserved strains in culture collections (B).

* : Tied for tenth place.

기탁된 균주에 대한 정보 수집 결과

국내 유래 소재에서 분리한 효모를 보유하고 있는 균주센터 등을 검색한 결과 9곳에서 2020년 4월말 기준 3,464 균주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Table 3).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자원배양센터(NIBR)가 가장 많은 1,57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1,039주, 생물자원센터(KCTC) 375주, 농업유전자원센터(KACC) 209주 순이다. 균주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내 소재 유래 효모는 91속 323종(10 변종 포함)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 중 자낭효모는 45속 163종 (6변종 포함), 담자효모는 46속 160종(4변종 포함)이다.

분리 시기를 알 수 있는 균주 1,948주 중 91%에 해당하는 균주가 2010년대에 분리되었다. 분리원을 알 수 있는 균주 1,014주 중 환경시료에서 분리된 균주가 59.0%로 가장 많았으며 주류 16.7%, 임상검체 13.5%, 식품 10.3%, 동물 0.4% 순으로 나타났다. 균주센터에서 보관하고 있는 효모균주 중 균주 수가 가장 많은 종은 Cryptococcus neoformans (997균주)이며 (Fig. 2B), Saccharomyces cerevisiae (266주), Candida albicans (92주), Candida tropicalis (37주), Wickerhamomyces anomalus (35주) 순이었다.

Table 3. Culture collections with containing yeast strains.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the website and collection curators.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3.png

a Data obtained from curators.

문헌 및 보존 균주에 대한 학명 목록 분석결과

문헌정보 검색과 기탁균주 정보 검색을 통해 확보된 종 정보 등을 종합하여 국내에서 보고된 효모의 목록을 작성하였다(Table S1 and S2). 전체 128속 681종(26종 변종 포함)의 효모가 조사되었으며 이 중 자낭균문은 3아문 7강 9목 19과 72속 430종(18변종 포함), 담자균문은 3아문 7강 17목 25과 56속 251종(8변종 포함)이다(Table 2).

보존 균주 중 가장 많은 균주 수를 보인 종은 Cryptococcus neoformans (997주)로 16편의 문헌에 언급된 반면, Saccharomyces cerevisiae (266주)는 355편의 문헌에서 언급되었다. 이는 산업적 관심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문헌숫자와 보관 균주 숫자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위 10개 종을 선별하여 비교한 결과 S. cerevisiae를 비롯하여 Candida tropicalis, Rhodotorula mucilaginosa, Wickerhamomyces anomalus 4종이 문헌과 보관 균주수 모두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된 종의 균주 기탁현황을 조사한 결과, 문헌으로 보고된 신종 8종은 모두 국내 균주센터에 기탁되어 있다. 또한, 문헌에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163종 중 127종이 균주센터에 기탁되어 있어 소재를 확인할 수 있다.

자생 효모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결과

논문과 기탁균주로 보고된 효모 128속 681종(26변종 포함)에 대해 세계적 데이터베이스인 Index fungorum, Mycobank, The yeasts를 참고하여 분류학적 검토를 실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보고된 자낭효모와 담자효모에 대한 현재명을 제시하였다(Table S1 and S2). 그 결과, 142속 500종(9변종 포함)이 현재명으로 정리되었다. 자낭효모의 현재명은 88속 304종(6변종 포함), 담자효모의 현재명은 61속 200종(3변종 포함)이다(Table 2). 현재명 4종은 문헌에 자낭효모, 담자효모 모두에서 발표되어 중복으로 집계되었다. 예를 들어 문헌에 보고된 자낭효모 Candida curvata와 담자효모 Cryptococcus curvatus의 현재명은 모두 Cutaneotrichosporon curvatum로 제시되었다.

종수가 681종에서 500종으로 감소한 것은 하나의 현재명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이명이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발표종 681종 중 181종은 117종(현재명)의 이명으로 조사되었다. 예를 들면 Saccharomyces cerevisiae는 11개의 이명으로 보고되었고, 다음으로 보고된 이명 수가 많은 종인 Kluyveromyces marxianus는 6개의 이명이 보고되었다. 종 수가 감소한 것과는 달리 속의 수는 발표종의 128속에서 현재명 142속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한 속이 여러 개의 속으로 나뉘어 새로운 속이 발표되는 등의 분류학 연구 흐름에 따른 것이다.

현재명 500종을 환경부 국가생물종목록(2020년 말 기준 균류 4,483종)에 등록여부를 조사한 결과 24%에 해당하는 118종이 등록되어 있다(Fig. 3). 등록되지 않은 382종 중 이명이 종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종이 48종이다. 따라서 현재 등록되어 있는 현재명을 제외하고, 추가로 등록될 가능성이 있는 종은 66.8%인 334종으로 확인되었다.

참조한 세 곳의 현재명 일치 여부를 5가지의 경우로 구분한 결과(Table S1, S2). 참조한 세 곳의 학명이 일치하는 경우(①)는 392종으로 57.6%에 해당하였으며, 두 곳 이상에서 일치하는 경우는(②) 227종으로 33.3%였다. 한 곳에서만 현재명이 있는 경우(③)는 35종으로 5.1%에 해당했다. 데이터베이스 세 곳의 현재명 결과가 없거나 현재명이 하나 이상으로 불확실한 경우(④) 또는 세 곳의 현재명 검색결과가 모두 다른 경우(⑤)는 각각 12종(1.8%), 15종(2.2%)로 조사되었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Fig_KJOM_49_02_06_F3.png

Fig. 3. Status of registration of the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yeast on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고찰

국내 서식 효모에 관한 연구는 1910년부터 진행되어 100년이 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2010년대에는 효모발굴문헌 196편과 1,765균주가 발표될 정도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자생 효모의 종이나 수에 관해서는 조사된 바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문헌과 균주조사를 통해 국내 서식 효모 종 목록을 작성한 것은 의미가 크다. 국내에서 분리된 것으로 발표된 효모 종의 수는 128속 681종(26변종 포함)이며, 분류학적 재검토를 통해 142속 500종(9변종 포함)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이 중 2020년말 기준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효모는 166종으로, 66.8%에 해당하는 334종이 추가 등록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기재 가능성이 있는 334종의 효모를 국가생물종목록에 기재하기 위해서는 문헌보고와 실체확인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가생물종목록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목록으로 매년 업데이트하여 국내 서식 생물의 다양성 보전 및 관리에 활용되는 자료이며, 국가 생물자원의 주권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효모 종을 현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균주로 발표된 681종을 세계적으로 공인된 기관 세 곳의 현재명에 따라 현재명과 이명을 분류하였다. 세 기관의 현재명을 검색한 결과, 세 곳 중 어느 곳에서도 현재명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④)에 해당하는 12개의 학명에 대해서는 오탈자 등의 가능성이 있어 현재명 설정과 국가생물종목록 등록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효모의 분류학 연구는 2001년 신종 보고와 2012년 미기록종 보고로 시작되어 연구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또한 전체 효모 연구논문 중 분류학 논문의 비중은 16.2%로 낮은 수준이다. 문헌과 균주가 많이 보고된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Candida tropicalis, Rhodotorula mucilaginosa, Wickerhamomyces anomalus 4종 중 국가생물종목록에 기재된 종은 R. mucilaginosa 단 한종으로 분류학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 하지만 2010년대 발표 미기록문헌 수 21편, 130종에 비해 2020년 한 해에 발표된 미기록종 논문이 7편, 34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미기록종 163종의 국내 균주센터 기탁현황을 보면 127종이 기탁되어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약 22%에 해당하는 36종은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대부분의 미기록종 논문에서 균류 바코드 구간인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와 효모에서 많이 쓰이는 구간인 D1/D2를 이용하여 계통분류 연구를 진행하는데, 염기서열을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와 같이 공공 데이터베이스에 올린 경우는 극히 드물어 추적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효모 미기록종 발표시 발굴 균주와 염기서열 정보를 공인 기관에 기탁 및 게재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균주센터는 균주의 보존 외에도 원활한 활용을 지원하는데에 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균주에 관한 기본정보 외에도 활용가능한 특성에 대한 정보 수집이 필수적이다. 국내 소재은행에서 보관중인 3,464주의 효모 중 분리시기를 알 수 있는 균주는 56%, 분리지역을 알 수 있는 균주는 50%, 분리원을 알 수 있는 균주는 29%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균주 기탁시에는 균주의 상세정보(분리시기, 분리지역, 분리원)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나아가 균주의 생리적, 형태적, 유전적 특성 등의 조사를 통해 균주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효모의 종 목록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효모의 정의 및 다른 형태의 균류(버섯, 곰팡이 등)와의 구분이 필요하다. 효모는 단세포 무성번식 시기를 갖는 균류의 한 형태로 단일 계통을 형성하는 분류군이 아니라 다른 균류와 효모를 구분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다계통으로 구분이 어려워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관리 및 보전이 필요함을 감안할 때 본 논문의 결과가 그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적요

국내 효모연구는 1910년 이래로 현재까지 주류, 식품, 환경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서식하는 효모의 종 수와 목록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한국에서 보고된 문헌에 기재된 효모 종과 균주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효모를 조사한 결과 128속 681종(26변종 포함)이 국내에서 보고된 효모 종 수로 나타났다. 발표종 681종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 결과 142속 500종(9변종 포함)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국가생물종목록에 기재되지 않아 새롭게 등록가능성이 있는 종은 334종이다. 국가생물종목록은 국내 서식 생물의 다양성 보전 및 관리에 활용되는 자료로, 국가 생물자원의 주권확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국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효모 종의 문헌과 균주에 대한 추가 검증 연구를 통해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project on the survey and excavation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202002116 and NIBR202102107)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1.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2.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3.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4.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5.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6.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7.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8.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09.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10.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11.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1_12.png

a The numbers in parentheses are total amount of strains in the culture collection.

*: Included in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1.png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2.png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3.png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4.png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5.png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6.png
Table S2.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Basidi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7.png
Table S1. List of reported yeast species, strains, and current scientific species name of phylum Ascomycota in Koreaa(to be continued).. http://dam.zipot.com:8080/sites/KJOM/images/N0320490206_image/Table_KJOM_49_02_06_TS2_08.png

a The numbers in parentheses are total amount of strains in the herbarium.

*: Included in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References

1 1. Kurtzman CP, Fell JW, Boekhout T.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the yeasts. The yeasts, a taxonomic study, 5th edn. In: Kurtzman CP, Fell WF, Boekhout T, editors. Amsterdam: Elsevier Science Pulishers; 2011. p. 3-5.  

2 2. Boundy-Mills KL, Glantschnig E, Roberts IN, Yurkov A, Casaregola S, Daniel HM, Groenewald M, Turchetti B. Yeast culture collec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Yeast 2016;33:243-60.  

3 3. McGovern PE, Zhang J, Tang J, Zhang Z, Hall GR, Moreau RA, Nuñez A, Butrym ED, Richards MP, Wang C, et al. Fermented beverages of pre-and proto-historic China. Proc Natl Acad Sci USA 2004;101:17593-8.  

4 4. Johnson EA, Echavarri-Erasun C. Yeast biotechnology. The yeasts, a taxonomic study, 5th edn. In: Kurtzman CP, Fell WF, Boekhout T, editors. Amsterdam: Elsevier Science Pulishers; 2011. p. 21-44.  

5 5. Kurtzman CP, Mateo RQ, Kolecka A, Theelen B, Robert V, Boekhout T. Advances in yeast systematics and phylogeny and their use as predictors of biotechnologically important metabolic pathways. FEMS Yeast Res 2015;15:fov050.  

6 6. Kurtzman CP, Fell WF, Boekhout T. The yeasts, a taxonomic study, 5th edn. Amsterdam: Elsevier Science Pulishers; 2011.  

7 7. Yurkov AM, Kemler M, Begerow D. Species accumulation curves and incidence-based species richness estimators to appraise the diversity of cultivable yeasts from beech forest soils. PLoS One 2011;6:e23671.  

8 8. Hawksworth DL. The magnitude of fungal diversity: The 1.5 million species estimate revisited. Mycol Res 2001;105:1422-32.  

9 9. Hawksworth DL, Lücking R. Fungal diversity revisited: 2.2 to 3.8 million species. Microbiol Spectr 2017;5:1-17.  

10 10. Saito K. Notizen über einige koreanische Gärungsorganismen. Centbl. Bakt. ParasitKde , Abt. II. 1910;26:369-74.  

11 11. Yu T, Kim H, Ha H, Kim T, Yoon I.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s of Nuruk (until 1945). J Korean Soc Food Nutr 1996;25:170-9.  

12 12. Namgung H. 1964. Studies on Soju yeasts (1): on the yeasts isolated from mashes Honam district. Chonbuk National Univ Bull 1964;6:247-61.  

13 13. Park MS, Rha CH. Studies on the wild yeasts in Korea (II): Wild yeast and Drosophila. Kor J of microbiol 1970;8:95-102.  

14 14. Park MS. Studies on the wild yeasts in Korea (III): Investigation of wild yeast distribution. Kor J of microbiol 1972;10:51-68.  

15 15. Chun SB, Park MS.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ies of yeasts and their epiflora on seaweeds in inshore waters of Mok-po, Korea. Kor J microbiol 1975;13:157-64.  

16 16. Yeo S, Choi W. Studies on the yeast-like fungi associated with Bovine mastitis. Kor J Vet Res 1982;22:121-38.  

17 17. Chang G, Kim T. Studies on yeasts-like fungi isolated from the mastitis of dairy cattle. J Kor Vet Med Assoc 1984;20:684-91.  

18 18. Park WS, Koo YJ, Shin DH, Suh KB.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arch utilizing yeast. K Food Sci Technol 1983;15:46-50.  

19 19. Jun HK, Yeeh Y. Isolation of ethanol-, acetic acid- and acetaldehyde- assimilating yeast, Candida sp. JY-5. Kor J Microbiol Biotechnol 1985;13:233-7.  

20 20. Lee K, Bae S. Isolation of methanol-assimilating Candida boidinii YF-3 and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Kor J Food Sci Technol 1987;19:324-30.  

21 21. Cho W, Kim J, Lee 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black yeast producing fructosyl transferase. Kor J Mycol 1990;18:20-5.  

22 22. Kang S, Lee C, Kim Y. Isolation of biosurfactant-producing yeast Rhdotorula sp. G-1 and the biosurfactant production. Kor J Microbiol Biotechnol 1996;24:185-90.  

23 23. Kim C, Jin I, Yu C.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arrowia lipolytica 504D producing alkaline proteinase. Kor J Microbiol 1998;34:75-81.  

24 24. Park SY, Choi SY, Min KH. Isolation of glucoamylase producing yeasts and its enzymatic characteristics. Kor J Mycol 1999;27:386-93.  

25 25. Choi CJ, Kim HU, Ihm CW. The relationship between tinea versicolor and earwax type, and incidence and population densities of the two phases of Malassezia furfur according to the earwax type. Kor J Dermatol 1994;32:795-801.  

26 26. Lee MS, Park SS, Koh YI, Jang AS, Lim SC, Yang JY, Park HK, Na HJ, Kim YC, Choi IS, et al. A case of crypotoccosis involving lung and CNS without underlying disease. Tuberc Respir Dis 1995;42:618-23.  

27 27. Lyu SH, Lim JS, Yu DS, Shin WH, Lyu IY, Yun SJ, Lee JH, Hwang SC. A case of pulmonary cryptococcosis in healthy person. Tuberc Respir Dis 1996;43:102-7.  

28 28. Park SS, Lee SH, Lee MA, Hong KS. Hansenula anomala pneumonia in a patient with lung cancer. Kor J Clin Pathol 1994;14:463-9.  

29 29. Shin KS, Shin YK, Yoon JH, Park YH. Candida thermophila sp. nov., a novel thermophilic yeast isolated from soil.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1;51:2167-70.  

30 30. Hong SG, Chun J, Oh HW, Bae KS. Metschnikowia koreensis sp. nov., a novel yeast species isolated from flowers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1;51:1927-31.  

31 31. Kang MG, Hyun SH, Ryu JJ, Min JH, Kim HG, Lee JS. Note on newly isolated yeasts from wild flowers in Daejeon city, Korea. The Kor J Mycol 2012;40:174-6.  

32 32. Yu T, Kim J, Kim H, Hyun J, Ha H, Park M.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anism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since 19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27:789-99. 

33 33. Hyun S, Han S, Kim H, Lee J. Yeasts diversity of wild flowers in mountains of Korea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Kor J Mycol 2015;43:137-41.  

34 34. Kim J, Lee M, Kim HY, Heo J, Kwon S, Yun BS, Kim S. Distribu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flowers in Korea. Kor J Mycol 2020;48:475-84.  

35 35. KOBIS. Korean Bio-resource Information System. [Internet]. Daejeon: KOBIS; 2020 [cited 2020 Dec 20]. Available from: https://www.kobis.re.kr.  

36 36.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2020). [Internet]; 2020 [cited 2021 Mar 12]. Available from: http://kbr.go.kr  

37 37.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ontreal: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