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Sordariomycetes은 자낭균문(Ascomycota)에서 두 번째로 큰 분류군으로 32목 107과가 포함된다 [1]. Sordariomycetes은 지의류를 형성하지 않고, 플라스크 형태의 자낭과를 가지며, 원시적인 자낭벽을 갖거나 하나의 자낭벽을 갖는 자낭을 형성한다[2]. Sordariomycetes에 속하는 대부분의 분류군은 육상 환경에서 분포하지만, 몇몇 분류군은 수중에서 서식할 수 있으며, 병원균이나 내생균으로 식물 내부에서 분리되기도 한다[3]. Sordariomycetes에 속하는 분류군 중 Colletotrichum 속, Diaporthe 속, Chaetomium 속은 내생균으로 빈번하게 발견되며, Neurospora 속도 내생균으로 보고된 바 있다[4].

내생균(Endophytic fungi)은 식물의 조직 내에서 서식하며 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곰팡이이다[5]. 내생균은 식물에게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며, 내생균이 생성하는 항균 물질은 병원균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6]. 내생균이 생성하는 효소와 이차 대사산물은 농업과 산업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바이오 연료, 생물 정화 등의 분야에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7]. 따라서 내생균에 대한 연구는 곰팡이와 식물의 관계를 파악하고 새로운 미생물 자원을 발굴할 가능성을 높인다. 본 연구는 국내 내생균을 분리하던 중 확인된 Sordariomycetes에 속하는 4속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고 분자계통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