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Korea

한 상민  Sang-Min Han1현 세희  Se-Hee Hyun1김 나미  Na-Mi Kim2이 종수*  Jong-Soo* Lee1

Abstract

ABSTRACT : We prepared supernatants and cell-free extracts of yeasts isolated from wild flowers in Korea,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cell-free extracts of Kuraishia capsulata UL40-2 and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 showed significantly high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46.4% and 48.3%, respectively. Starmerella bombicola 80-J-1 also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36.2% in the cell-free extract. Other antioxidant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not detected or were below 20%. Maximal production of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s were observed when Kuraishia capsulate UL40-2 and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 were cultured in the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a at 30ºC for 24 hour, respectively.

Keyword



서 론

주로 자낭균류, 담자균류(유포자 효모)와 일부 불완전균류(무포자 효모)에 분포하고 있는 효모는 Cryptococcus속 균 등 몇 종을 제외한 대부분이 비병원성 균들로서 오래 전부터 주류 등의 전통 발효 식품 제조 등에 이용되어 오고 있고[1] 근래에 진핵세포를 가진 고등 미생물로서 분자 유전학 등의 연구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효모는 다른 미생물에 비하여 빠른 생육과 배양이 용이한 이점 등이 있어 최근에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물질[2, 3], 항치매성 β-secretase저해물질[4], acetylcholinesterase 저해물질[5], 혈관신생억제물질[6], 미백성 tyrosinase 저해물질[7], 혈전용해 활성물질[8] 등 다양한 의약활성물질이나 생리기능성물질들 개발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근래 우리나라 야생화들에 분포하고 있는 효모들을 분리하여 국내외 미기록 효모들의 발굴과 함께 효모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자 전보[9-11]에서는 제주도, 울릉도, 욕지도 등 우리나라 주요 섬들과 오서산, 백암산, 계족산 등 주요 산들의 야생화들에서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을 측정하여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높은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또한 선발된 우수효모들을 이용한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효모와 시약

제주도와 울릉도, 통영 앞바다의 욕지도 등의 우리나라 섬들과 충남 홍성의 오서산, 대전의 계족산, 전북 정읍의 백암산 등의 야생화들에서 분리 동정한 효모들을[9-11] 실험에 사용하였다.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고, 기타 시약들은 분석용 특급을 사용하였다.

배양 상등액과 무세포 추출물의 제조

분리 효모들을 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ºC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8,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과 세포배양물을 각각 얻었다[12]. 세포배양물은 다시 0.1 M Tris-HCl 완충용액(pH 8.3)에 현탁시킨 후 초음파 균체파쇄기(Vibra cell; SONICS & Materials, Newtown, CT, U.S.A.)로 파쇄하고 12,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무세포추출물을 얻었다. 이들 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들을 동결건조시킨 후 이들을 0.1 M 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pH 7.5)에 10 mg/mL로 용해시켜 생리기능성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12].

생리 기능성 측정

지금까지 효모를 대상으로 연구가 많이 실시되지 않은 생리기능성 가운데 노화억제에 관련된 항산화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을 실시 측정하였다. 항산화활성(전자공여능)은 DPPH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료 60 μL에 DPPH 12.5 mg을 에탄올 100 mL에 용해시킨 DPPH 용액 240 μL를 첨가한 후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구의 값과 비교하여 활성을 계산하였다[13, 14].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 25 μL에 5 mM LDOPA 50 μL, 0.1 M 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pH 6.8)을 혼합한 후 tyrosinase 40 U을 첨가하여 37ºC에서 10분간 반응시켜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대조구의 값과 비교하여 활성을 계산하였고 3반복의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8].

Xanthine oxidase (XOD) 저해활성은 시료 100 μL를 1mM xanthine 용액 200 μL와 0.05 U xanthine oxidase 100μL에 혼합하고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 600 μL 첨가하여 1 mL로 정용한 후 37ºC에서 5분간 각각 반응시켰다. 1 N HCl 200 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 시키고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배양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uric acid 함량을 분광분석기(UV-1601; Shimadzu, Kyoto, Japan)로 2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 후 다음과 같이 각각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을 계산하였고[15], 위와 같이 얻은 저해활성 결과들을 3반복의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 [1 − {A(시료구) − B(시료구 blank) / C(대조구)}] × 100

결과 및 고찰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항산화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제주도와 욕지도 및 울릉도 등 우리나라 주요 섬들의 야생화들에서 분리 동정한[9, 11] 50종 141 효모 균주들의 생리기능성들을 배양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로 구분하여 측정한 후 생리기능성별로 활성이 우수한 효모들을 5개씩 선별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제주도 성산일출봉 야생화에서 분리한 Rhodosporidium paludigenum 89-J-3의 배양상등액이 19.0%로 가장 높았고 무세포추출물들은 대부분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항통풍성 XOD 저해활성은 울릉도 나리분지의 야생화에서 분리한 Kuraishia capsulata UL40-2의 무세포추출물에서 46.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배양상등액에서는 Rhodotorula graminis UL20-3이 25.7%를 보였을 뿐 대체로 20% 미만으로 미약하였다. 또한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제주도 서귀포 시내 야생화에서 분리한 Starmerella bombicola 80-J-1의 무세포추출물에서 36.2%의 활성을 보였고 대부분 배양상등액 보다는 무세포추출물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았다.

이 결과들은 Hyun 등[12]이 전라북도 고군산열도의 선유도 일대에서 2014년 4월 중순에 개화한 꽃들로부터 분리한 효모들 중 Metschnikowia reukaufii SY44-6의 배양상등액이 각각 49.6%의 XOD 저해활성과 38.4%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Cryptococcus aureus SY40-1의 무세포 추출물이 46.5%의 XOD 저해활성을 보였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서울 구로동의 야생화에서 분리한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의 무세포추출물의 XOD 저해활성(19.6%)[9]과 Han 등[17]이 덕유산 야생화에서 분리한 Sporobolomyces phaffii JS00583의 40.4% 보다는 높은 결과였다.

한편 계족산과 오서산 및 백암산 등 우리나라 산에 서식하는 야생화들에서 분리 동정한[10] 32종 66균주 효모들의 무세포추출물과 배양상등액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한 후 위와 같이 생리기능성별로 우수효모들을 선별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항통풍성 XOD 저해 활성은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의 무세포추출물이 48.3%로 가장 높았고 Pseudozyma antarctica 123-Z-4와 Rhodotorula glutinis 115-Z-1의 무세포추출물들도 각각 46.3%와 45.3%로 비교적 높았으며 Filobasidium floriforme 396-JB-1의 배양상등액에서도 41.8%를 보였다. 그러나 항산화 활성은 Rhodos poridium fluviale 399-JB-1의 배양상등액에서 22.0%를 보였을 뿐 대체로 낮았고 tyrosinase 저해활성도 5균주들의 배양상등액에서 28.6~29.9%를 보였으나 무세포추출물에서는 20% 미만으로 미약하였다.

Table 1.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five potent species from total 141 yeast strains of wild flowers collected in Yokjido, Ulleungdo, Jeju-do, Korea

img/0100430204/ksom-43-02-04-i001.jpg

aSource of description [9, 18]; bn.d, not detected or < 5%.

Table 2.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five potent yeast species from total 66 yeast strains of wild flowers collected in Mt. Gyejok, Mt. Oseo and Mt. Baekam, Korea

img/0100430204/ksom-43-02-04-i002.jpg

aSource of description [9, 18]; bn.d, not detected or < 5%.

이 결과들은 Han 등[17]이 2014년 7월에 개화한 덕유산 일대 야생화에서 분리한 Sporobolomyces phaffii JS00583 배양상등액의 XOD 저해활성(40.4%)보다는 높았으나 Cryptococcus magnus JS00570의 배양상등액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36.1%)보다는 낮은 결과였다.

img/0100430204/ksom-43-02-04-g001.jpg

Fig. 1. Effect of cultural times of Kuraishia capsulata UL40-2(□) and Sporobolomyces ruberimus 121-Z-3(▨) on the production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의 최적 생산 조건

위와 같이 섬과 산 지역 야생화들에서 분리한 효모들의 생리기능성 중에서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던 Kuraishia capsulate UL40-2와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XOD 저해물질 생산 조건을 조사한 결과 Fig. 1과 같이 Kuraishia capsulate UL40-2와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 각각을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ºC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XOD 저해활성이 증가하여 배양 24시간 후 얻은 무세포추출물이 47.2%와 49.5%로 가장 높은 XOD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yeast extract malt extract (YM), Luria bertani (LB), YPD, tryptic soy broth (TSB)와 potato dextrose broth (PDB) 배지 등을 이용하여 두 효모들의 XOD 저해물질 생산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Kuraishia capsulata UL 40-2는 YPD와 YM 배지에서 각각 47.9%와 46.5% 를 보였고 PDB 배지와 TSB 배지에서는 3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자료 미제시).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 역시 YM 배지와 YPD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저해활성(49.8%, 49.0%)을 보여 두 균주 모두 YPD 배지나 YM 배지가 XOD 저해물질 생산에 적당한 것 으로 생각된다.

이 결과는 Hyun 등[9]이 서울 구로동 일대에서 2012년 개화한 꽃에서 분리한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을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ºC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얻은 무세포추출물의 XOD 저해활성(19.6%)보다는 배양시간이 짧았고 더 높은 활성이었다. 그러나 Jang 등[17]의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물 추출물의 78.3%보다는 매우 낮은 활성이었다.

Xanthine oxidase는 핵산관련물질인 xanthine을 산화시켜 요산을 생합성하는데 관여하는 rate-limiting 효소로서 이러한 요산이 관절부위에 축적되어 통풍을 유발시킨다[9]. 통풍은 최근 발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만성 소모성 질환의 일종이며 아직까지 효능이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은 항통풍성 건강 소재 개발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9].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비록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물추출물보다 활성이 낮지만 버섯 자실체의 배양기간(3~4주) 등 을 감안하였을 때 배양이 용이하고 배양시간이 짧은 이점이 있는 효모에서의 생산은 경제적 측면에서 더 유리할 것이고 새로운 항통풍성 건강 소재의 산업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적요

제주도, 울릉도, 욕지도 등 우리나라 섬들과 계족산, 오서산, 백암산 등의 산에서 서식하는 야생화들에서 분리한 207 효모 균주들을 YPD 배지에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무세포추출물과 배양상등액을 제조한 후 이들의 항산화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섬 지역 야생화들에서 분리한 Kuraishia capsulata UL40-2와 산 지역 야생화에서 분리한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의 무세포추출물이 각각 46.4% 와 48.3%의 비교적 높은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Starmerella bombicola 80-J-1의 무세포추출물 역시 36.2%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 밖의 항산화활성과 tyrosinase 저해활성은 모든 분리 효모들에서 없거나 30% 미만으로 미약하였다. 이들 가운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였던 Kuraishia capsulate UL40-2와 Sporobolomyces ruberrimus 121-Z-3의 xanthine oxidase 저해제의 최적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두효모 각각을 YPD에 접종하여 30º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무세포추출물이 47.2%와 49.5%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1 Kim JH, Kim NM, Lee J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fermentation of thermo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from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Nutr 1999;12:490-5. 

2 Jeong SC, Kim JH, Kim NM, Lee JS. Produc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Malassezia pachydermatis G-14. Mycobiology 2005;33:142-6. 

3 Kim JH, Lee DH, Jeong SC, Chung KS, Lee JS. Characteriza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J Microbiol Biotechnol 2004;14:1318-23. 

4 Lee DH, Lee DH, Lee JS.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dementia β-secretase inhibitory peptid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Enzyme Microb Technol 2007;42:83-8. 

5 Lee DH, Lee JS, Yi SH, Lee JS. Production of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Yarrowia lipolytica S-3. Mycobiol 2008;36:102-5. 

6 Jeong SC, Lee DH, Lee JS.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angiogenic agent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K-7. J Micriobiol Biotechnol 2006;16:1904-11. 

7 Jang IT, Kim YH, Yi SH, Lim SI, Lee JS. Screening of a new fibrinolytic substances-producing yeast. Kor J Mycol 2011;39:227-8. 

8 Jang IT, Kim YH, Kang MG, Yi SH, Lim SI, Lee JS. Production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Kor J Mycol 2012;40:60-4. 

9 Hyun SH, Mun HY, Lee HB, Kim HK, Lee JS. Isol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onggi-do province and Jeju island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3;41:383-90. 

10 Min JH, Ryu JJ, Kim HK, Lee J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Kor J Mycol 2013;41:47-51. 

11 Hyun SH, Min JH, Lee HB, Kim HK, Lee JS. Isolation and diversity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and Yokjido, Korea. Kor J Mycol 2014;42:28-33. 

12 Hyun SH, Han SM, Lee JS. Isol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Seonyudo of Gogunsanyeoldo, Jeollabuk-do, Korea. Kor J Mycol 2014;42:201-6. 

13 Hyun SH, Han SM, Lee JS.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unrecorded yeasts from wild flowers of Seonyudo in Jeollabukdo, Kore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4;42:402-6. 

14 Kim HK, Lee EN, Geum JW, Lee JS.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olyplant extracts from some vegetables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Nutr 2008;21:410-5. 

15 Hyun SH, Lee J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Yokjido, Korea. Mycobiol 2014;42:198-202. 

16 Han SM, Hyun SH, Lee J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Deogyu mountain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Kor J Mycol 2015;43:47-52. 

17 Jang IT, Hyun SH, Shin JW, Lee YH, Ji JH, Lee JS. Characterization of an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from Pleurotus ostreatus. Mycobiol 2014;42:296-300. 

18 Hyun S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several islands and mountains of Korea and determination of their functionality [dissertation]. Daejeon (Korea): University of Paichai;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