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hyperglycemic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Neolentinus lepideus

신 자원  Ja-Won Shin1배 상민  Sang-Min Bae1한 상민  Sang-Min Han1이 윤혜  Yun-Hae Lee2김 정한  Jeong-Han Kim2지 정현  Jeong-Hyun Ji2이 종수  Jong-Soo Lee1

Abstract

For development a new anti-diabetic compound from edible mushroom, antihyperglycemic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cornucopiae, Pleurotus salmoneostramineus, Pleurotus eryngii and Neolentinus lepideus were investigated on its water and ethanol extracts.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Neolentinus lepideus fruiting body showed the highest at 86.3% in the 95% ethanol extracts and water extract from Pleurotus cornucopiae was also higher at 48.5% among water extracts. Therefore, Neolentinus lepideus which showed very hig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selected as a new anti-diabetic agent-containing mushroom and the α-glucosidase inhibitor was maximally extracted when treated with 95% ethanol at 30ºC for 48 hr. The ethanol extracts from Neolentinus lepideus fruiting body showed dosage-dependent hypoglycemic action after administration to 120 min in the SD-rat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D-rat.

Keyword



서론

버섯은 진균류의 일종으로 담자포자를 형성하는 담자균 류에 주로 분포하고 있고 탄수화물 외에도 단백질과 핵산 등이 풍부하며 특히 β-glucan과 provitamin D인 ergosterol 을 함유하고 있어 생식 외에도 건강소재 자원으로 많이 사 용되고 있다[1, 2].

버섯의 주요 약리 효과로는 오래 전부터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주요 약리효능으로는 영지버섯의 콜레스테롤 저해효과[3] 와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의 혈당상승 억제작용 [4],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의 혈당 강하효과[5], 좀 나무싸리버섯(Clavicorona pyxidata)의 항균작용[1], 왕송 이버섯(Tricholoma giganteum)의 항암작용[6], 일반 식용 버섯류의 혈소판 응집 저해효과와 혈전용해효과[7], 항산 화 작용과 정력증강 작용[8]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최 근에 Lee 등[9]은 왕송이버섯에서, Koo 등[10]과 Jang 등 [11]은 각각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과 노랑느타리 버섯(Pleurotus cornucopiae)에서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 물질의 추출 및 특성을 보고하였다.

한편, 잣버섯(Neolentinus lepideus)은 담자균류 주름버섯 목 구멍장이버섯과 잣버섯속의 버섯으로[12], 한국, 일본, 유럽에 주로 분포하며,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침엽수 또 는 소나무의 죽은 가지 혹은 그루터기에 홀로 자라거나 무 리 지어 생육하는 갈색부후균 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잣버섯의 생리기능성에 관한 연구로는 Jin 등 [13-15]의 항암 및 항고혈압효과, 간 기능개선효과, 항세균 효과와 면역증진효과, Yoon 등[16]의 고지혈증 예방효과와 항산화활성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 잣버섯의 영양성 분과 항산화활성 등이 보고되었고[12], ergosterol [17]과 gallic acid 등의 다양한 페놀화합물 등이 보고되었다. 아울 러 잣버섯이 가진 우수한 향미와 식감으로 고급 식재료 자 원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여 이들의 대량생산을 위한 생육온 도와 재배방법 등에 따른 생육특성[18-20] 등이 연구, 보고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잣버섯 자실체의 α-glucosidase 저해제와 실험동물을 이용한 이들의 혈당상승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섯류로부터 건강기능성 식품소 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 분홍느타리 버섯(Pleurotus salmoneostramineus)과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잣버섯(Neolentinus lepideus)들 물 추출물과 에 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던 잣버섯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α-glucosidase 저해물질의 추출최적조건을 검토하였고 일반 쥐와 이들을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 쥐로 구분하여 잣버섯 에 탄올 추출물의 혈당상승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시료 버섯은 경기도 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로부터 분양 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p-NPG)와 α-glucosidase 및 당뇨유발물질 streptozotocin들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고 기타 시약은 분석용 특급을 사용하였다.

또한 혈당상승 억제효과 검증에는 Sprague-Dawley (SD) 수컷 흰쥐를 대한바이오링크(Eumseong-gu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이들의 사육에는 Kim 등[21]에서와 같이 마우스 렛 전용사료를 사용하여 사육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 측정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0.1 M 인산완충용액(pH 6.8) 에 0.1 U/mL의 농도로 조정한 표준 α-glucosidase 효소액 50 μL와 시료 50 μL를 96-well plate에 넣고 37ºC에서 5분 간 반응시킨 후 0.1 M 인산완충용액(pH 6.8)으로 2 mM 로 희석한 기질 p-NPG 용액 50 μL를 첨가한 후 37ºC에서 25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0.1 M sodium carbonate를 100 μL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LISA (Tecan, SanJose, CA, USA) 측정기로 405 nm에서 p-nitrophenol 함량을 측 정하여 다음과 같이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21].

α-Glucosidase 저해활성(%) = (C − T) / C × 100

(C: 대조구의 p-nitrophenol 함량, T: 시료첨가 후 생성 된 p-nitrophenol 함량)

동물실험

일반 쥐를 이용한 혈당상승 억제 효능 검증 실험은 실험 동물의 사육에 관한 배재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가 이드라인(등록번호: 2014 pcu-001)을 준수하여 다음과 같 이 실시하였다.

먼저 생후 6주령(180~200 g)된 수컷 쥐를 온도 22 ± 1ºC, 습도 55 ± 7%, 낮밤주기 12시간으로 유지되는 동물 사육실 에서 매일 15~20 g 마우스 렛 전용사료와 물을 주면서 1주 일간 적응시켰다[22, 23].

이들 실험동물을 무작위로 일반 쥐와 당뇨 쥐로 구분하 고 다시 이를 무처리 대조군과 시료첨가 실험군으로 나누 었다. 당뇨 유발은 공복상태의 쥐에 0.1 M citrate buffer (pH 4.5)에 용해시킨 streptozotocin (STZ, 60 mg/kg)를 1 회 복강주사한 다음 3일 후 혈당측정기(Accu-Chek Active; Roche, Indianapolis, IN, USA)로 혈당함량을 측정하여 혈 당치가 300 mg/dL 이상인 쥐만을 선발하여 당뇨 쥐로 실 험에 사용하였다.

혈당상승 억제 효능 검증은 이들 일반 쥐와 당뇨 쥐들을 대조군과 실험군 및 비교군으로 각각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대조군에는 멸균수를 투여하고 실험군에는 동결건조 한 잣버섯 추출물을 500 mg/kg, 1000 mg/kg의 농도로 경 구 투여하였으며 비교군으로 시판 혈당상승 억제제인 acarbose (Glucobay Tab. 50mg; Bayer Korea, Seoul, Korea)를 15 mg/kg를 경구 투여하여 실시하였고 glucose를 3 g/kg로 투여한 후 시간 별로 혈당을 측정하여 투여 120분까지 혈 당상승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포도당 함량은 꼬리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혈당측정기로 측정하였다[24- 26].

혈액의 생화학 성분의 분석

In vivo 실험에 사용한 실험 쥐들의 경구투여 120분후의 혈액들을 채취하여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creatinine, urea, iron, alkaline phosphatase, 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cholesterol 등의 혈액 생화학 성분들을 혈액분 석기(AU5400; Olympus, Center Valley, PA, USA)로 분석 하였다[27, 28].

통계처리

동물실험에서 얻은 결과들을 Statistical Analysis System 에 의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p < 0.05 에서 각각의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α-Glucosidase 저해활성 우수 버섯 선발

경기도 버섯연구소로부터 분양 받은 느타리버섯 등 5종 의 버섯 분말들을 30ºC에서 24시간 distilled water (D.W) 와 95% 에탄올로 각각 추출한 후 이들 추출물들을 동결건 조하여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Table 1과 같이 잣버섯 자실체를 95% 에탄올로 24시간 추출한 추출물이 86.3%으로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보여 최종 혈당상승 억제 물질 함유 우수 버섯으로 잣버섯을 선정하였다.

한편 물 추출물에서는 노랑느타리버섯 자실체를 30ºC에 서 24시간 동안 증류수로 추출한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48.5%로 가장 높았고 분홍느타리버섯도 39.1% 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Table 1.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various mushrooms fruiting body

img/0100430306/ksom-43-03-06-i001.jpg

a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30ºC, 24 hr.

D.W., distilled water ; n.d, not detected.

잣버섯 α-glucosidase 저해물질의 추출 조건

95% 에탄올을 이용하여 잣버섯 자실체중의 α-glucosidase 저해물질 대량 추출을 위한 추출 시간의 영향을 검토 한 결과, 추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저해활성이 증가하여 추출 48시간 후에 얻은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88.9%를 보여 가장 높았고 24시간 추출물에서도 86.0%의 저해활성을 보였다(Table 2).

또한 추출온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30ºC에서 4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88.2%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20ºC 추출에서도 85.2%로 비교적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나 40 ºC와 50ºC에서 추출에서는 각각 64.8%와 45.1%로 활성이 급격히 낮아졌다(자료미제시). 이들 결과로 보아 잣버섯 자 실체에 함유되어있는 α-glucosidase 저해물질은 95% 에탄 올로 20~30ºC에서 48시간 추출했을 때 대부분 추출되는 것 으로 추정되었고 40ºC 이상 추출시 활성이 급격히 낮아지 는 것으로 보아 잣버섯에 함유되어있는 혈당상승 억제성 α-glucosidase 저해물질은 열에 약한 단백질이나 펩타이드 계통의 물질 등으로 생각된다. 한편 Kim [29]은 커피 중의 α-glucosidase저해제가 β-carboline alkaloid norharman이 었음을 보고하였다.

Table 2. Effect of extraction time on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Neolentinus lepideus fruiting body

img/0100430306/ksom-43-03-06-i002.jpg

aExtraction temperature: 30ºC.

일반 쥐와 당뇨 쥐에서의 혈당상승 억제 효과

일반 쥐에서 잣버섯 추출물의 혈당상승 억제 효과를 조 사하기 위해 먼저 포도당을 3 g/kg으로 투여하고 다시 혈당 상승 억제성 α-glucosidase 저해물질을 함유한 잣버섯 에 탄올 추출물의 동결건조 분말을 500 mg/kg, 1000 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 후 120분까지 투여 시간에 따른 혈중 포 도당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Fig. 1).

투여 전 평균 혈중 포도당 함량이 92 ± 5 mg/dL이었던 일 반 쥐들에게 증류수를 경구 투여한 대조군의 쥐에서는 투 여10분 후 혈중 포도당 함량이 195 ± 9 mg/dL로 급격히 증 가하였다가 점점 낮아져 120분 후에는 108 mg/dL의 혈중 포도당 함량을 보였다. 이에 비하여 α-glucosidase 저해물 질을 함유한 잣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500 mg/kg과 1000 mg/kg 투여한 일반 쥐들에서는 투여 10분 후 각각 197 ± 6 mg/dL, 194 ± 6 mg/dL의 혈중 포도당 함량을 나타내어 무 처리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낮아져 투여 120분후에는 98 mg/dL와 90 mg/dL로 무처리 대조군보다 낮은 함량을 보여 혈당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 하였다.

img/0100430306/ksom-43-03-06-g001.jpg

Fig. 1. Changes of blood glucose levels up to 120 minute after administration of 3 g/kg glucose and various concentration of ethanol extract from Neolentinus lepideus in normal SD-rat (D.W., distilled water, SD, Sprague Dawley).

또한 시판 혈당상승 억제제인 acarbose를 15 mg/kg의 농 도로 일반 쥐에 경구 투여 하였을 때 역시 투여 10분 후 혈 액중의 포도당 함량은 잣버섯 추출물 처리군보다 낮은 187 ± 6 mg/dL를 보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낮아 져 120분 후에는 85 mg/dL의 포도당 함량을 보였다. 한편 α-glucosidase 저해물질을 함유한 잣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streptozotocin로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 쥐에서 혈당상승 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Fig. 2).

img/0100430306/ksom-43-03-06-g002.jpg

Fig. 2. Changes of blood glucose levels up to 120 minute after administration of 3 g/kg glucose and various concentration of ethanol extract from Neolentinus lepide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D-rat (D.W., distilled water, SD, Sprague Dawley).

투여 전 320 ± 9 mg/dL의 평균 포도당 함량을 보였던 당 뇨 쥐에 증류수를 투여한 대조군의 혈중 포도당 함량은 30 분 후에 591 ± 12 mg/dL로 급격히 증가한 후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120분 후 458 ± 5 mg/dL의 혈중 포도당 함량을 보였다. 이에 비하여 일반 쥐 에서와 같이 잣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500 mg/kg, 1,000 mg/kg의 농도로 투여한 당뇨 쥐들에서는 투여 30분 후 각 각 568 ± 8 mg/dL, 588 ± 11 mg/dL의 혈중 포도당 함량을 보여 대조군보다 포도당 함량이 낮아 혈당 상승이 억제됨 을 알 수 있었고 이후 투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낮 아지다가 120분 후에는 각각 403 mg/dL와 388 mg/dL의 혈당함량을 보여 대조군의 혈당 함량보다 55~70 mg/dL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시판 혈당상승 억제제인 acarbose를 15 mg/kg의 농 도로 경구 투여하였을 때 30분 후 502 ± 11 mg/dL 혈중 포도당 함량을 보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혈중 포도당 함량이 낮아졌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잣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시판 혈당제인 acarbose 만큼의 큰 효과가 아니지만 일반 쥐와 당뇨 쥐 모두에서 식후 혈당상승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연구의 잣버섯 자실체 분말의 30ºC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내에서의 단기 혈압상승 억제효과 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추출물의 수율(38%)을 감안하였을 때 대량 섭취의 어려움이 있겠지만 이들을 이용한 건강소 재 또는 음료 등의 개발에는 매우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Park 등[26]은 streptozotocin-nicotinamide로 유도 된 제2형 당뇨모델 쥐에 조각자(Gleditschiae Spina) 추출물 을 10주까지 장기투여 했을 때 혈당상승 억제 효과가 있음 을 보고하였다.

실험 쥐들의 혈액 중의 생화학 성분

일반쥐와 당뇨 쥐들의 경구투여 120분 후의 혈액을 채취 하여 주요 생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Table 3).

Table 3. Biochemical components of plasma from SD-rats and diabetic-rat in 120 minute after administr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ethanol extracts

img/0100430306/ksom-43-03-06-i003.jpg

Diabetic-rat from treatment by streptozotocin; SD-rat and diabetic-rat after administr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95% ethanol extract. SD, Sprague Dawley.

먼저 일반 쥐에서 잣버섯 추출물 투여군과 대조군 간에 creatinine, urea, Fe 함량, alkaline phosphatase 활성 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holesterol 함량은 잣버섯 추출물 투여 구에서 약 15~20 mg/dL 낮았다.

또한 당뇨 쥐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cholesterol 함량은 약 40% 이상 낮아졌으며, HDL-cholesterol 함량은 약 4배 이상 증가하여 이들 잣버섯 추출물이 혈당 상승 억제 효과 외에 간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잣버섯 추출물의 투여량을 500 mg/kg 과 1,000 mg/kg으로 달리하였을 때 혈액의 생화학적 성분 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적 요

버섯을 이용하여 새로운 혈당상승 억제 물질을 개발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 산업에 응용하고자 느타리버섯, 노 랑느타리버섯, 분홍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과 잣버섯들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잣버섯 자실체의 에 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잣버섯 자실체 분말을 95% 에탄올로 30ºC에서48시간 추출 하였을 때 α-glucosidase 저해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이 α-glucosidase 저해물질을 함유한 잣버섯 에탄올 추출물 은 일반 쥐와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 쥐 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식후 혈당상승 억제 효과를 보 였다.

References

1 Yu HE, Cho SM, Seo GS, Lee BS, Lee DH, Lee JS. Screening of bioactive compounds from mushroom Pholiota sp. Kor J Mycol 2006;34:15-21. 

2 Kang MG, Bolormaa Z, Lee JS, Seo GS, Lee JS.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anti-gout activity 

3 Kabir Y, Kimura S, Tamura T. Dietary effect of Ganoderma lucidum mushroom on blood pressure and lipid level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J Nutr Sci Vitaminol 1988;34:433-8. 

4 Kiho T, Tsujimura Y, Sakushima M, Usui S, Ukai S. Polysaccharides in fungi. XXXIII. Hypoglycemic activity of an acidic polysaccharide (AC) from Tremella fuciformis. Yakugaku Zasshi 1994;114:308-15. 

5 Kiho T, Yamane A, Hui J, Usui S, Ukai S. Polysaccharides in fungi. XXXVI. Hypoglycemic activity of a polysaccharides(CS-F30) from the cultural mycelium of Cordyceps sinensis and its effect on glucose metabolism in mouse liver. Biol Pharm Bull 1996;19:294-6. 

6 Mizuno T, Kinoshit T, Zhung C, Ito H, Mayuzumi Y. Antitumor- active heteroglycans from niohshimeji mushroom, Tricholoma giganteum. Biosci Biotechnol Biochem 1995;59:568-71. 

7 Park JS, Hyun KW, Seo SB, Cho SM, Yoo CH, Lee JS. Detec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and fibrinolytic substances from mushrooms. Kor J Mycol 2003;31:114-6. 

8 Yoo YB, Gu CD, Kim SH, Seo GS, Shin HD, Lee JW, Lee CS, Jang HY. Mushroom Science. Seoul: Jayeon & Saram; 2010. 

9 Lee DH, Kim JH, Park JS, Choi YJ, Lee J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derived from the edible mushroom Tricholoma giganteum. Peptides 2004;25:621-7. 

10 Koo KC, Lee DH, Kim JH, Yu HE, Park JS, Lee JS.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Pholiota adiposa. J Microbiol Biotechnol 2006;16:757-63. 

11 Jang JH, Jeong SC, Kim JH, Lee YH, Ju YC, Lee JS.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Pleurotus cornucopiae. Food Chem 2011;127:412-8. 

12 Jung HE, Park YN, Yoo BY, Jeon DH, Park KM. Analysis of nutrition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olentinus lepideus. J Mushroom Sci Prod 2013;11:261-8. 

13 Jin MR, Jung KS, Kim BK. Differential antitumor activities of the proteoglycans from the mycelium of Lentinus Lepideus. Yakhak Hoeji 1998;42:480-6. 

14 Jin MR, Jung KS.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by a water soluble proteoglycan, lepidan from Lentinus lepideus. Yakhak Hoeji 1999;43:635-41. 

15 Jin M, Jung HJ, Choi JJ, Jeon H, Oh JH, Kim B, Shin SS, Lee JK, Yoon K, Kim S. Activation of selective transcription factors and cytokines by water-soluble extract from Lentinus lepideus. Exp Biol Med 2003;228:749-58. 

16 Yoon KN, Alam N, Lee KR, Shin PG, Cheong JC, Yoo YB, Lee TS.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the fruiting bodies of Lentinus lepideus. Molecules 2011;16:2334-47. 

17 Kim SW.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Lentinus lepideus Fr.(I). Kor J Mycol 1979;7:9-11. 

18 Jang MJ, Lee YH, Jeon DH, Ju YC, Yoo YB.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fruit body in Neolentinus lepideus. J Mushroom Sci Prod 2013;11:21-3. 

19 Jang MJ, Lee YH, Ju YC, Kim SM, Koo HM.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according to supplementary nutrition in bag cultiv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Kor J Mycol 2011;39:171-4. 

20 Jang MJ, Lee YH, Ju YC, Koo HM. Cultural characteristics by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the cultiv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Kor J Mycol 2010;38:125-9. 

21 Kim YH, Shin JW, Lee JS. Production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α-glucosidase inhibitor from yeast, Pichia burtonii Y257-7. Kor J Microbiol Biotechnol 2014;42:219-24. 

22 Choi HY, Ha KS, Jo SH, Ka EH, Chang HB, Kwon YI. Antioxidant and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a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water extract. Kor J Food Nutr 2012; 25:239-45. 

23 Park YK, Kim JS, Jeon EJ, Kang MH. The improvement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glucose and cellular DNA damag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 J Nutr 2009;42:5-13. 

24 Hue JJ, Kim JS, Kim JH, Nam SY, Yun YW, Jeong JH, Lee BJ. Anti-glycemic effect of L-carnosin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or J Vet Res 2010;50:105-11. 

25 Kim GY, Yoon YJ, Kim EJ.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hyperglycemic by Lentinus edodes in high fat-fed and streptozotocin-treated rats. Kor J Orient Physiol Pathol 2013; 27:196-201. 

26 Park JH, Chu WM, Lee JM, Park HR, Park EJ. Antihyperglycemic of Gleditschiae Spina extracts in streptozotocin-nicotinamide induced type 2 diabet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011;40:321-6. 

27 Mascaro MB, Franca CM, Esquerdo KF, Lara MA, Wadt NS, Bach E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garicus sylvaticus schaeffer on glycemia and cholesterol after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in ra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 DOI:10.1155/2014/107629. 

28 Park HS, Lee YS, Choi SJ, Kim JK, Lee YL, Kim HG, Koo SH, Ku DH, Ki SI, Lim SS. Effects of herbal complex o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in mice model of metabolic syndrome. Kor J Pharmacogn 2009;40: 196-204. 

29 Kim SD. α-Glucosidase inhibitor isolated from coffee. J Microbiol Biotechnol 2015;25: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