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of Colletotrichum acutatum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Pepper by Antagonistic Microorganisms

한 준희  Joon-Hee Han1김 문종  Moon-Jong Kim1김 경수  Kyoung Su Kim1

Abstract

Anthracnose caused by Collectotrichum acutatum is the most devastating disease of pepper plants in Kore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selected antagonistic bacteria on control of anthracnose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pepper plants under field conditions. Four different bacterial isolates used in the current study were isolated from the pepper rhizosphere (GJ01, GJ11) and tidal flat (LB01, LB14) in previous studies. Four bacterial isolates, together with a control strain (EXTN-1),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cutatum in a dual culture assay. To test for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 seedling vigor index and growth parameters of pepper were measured under field condition. As a result, all four bacterial isolat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plant growth promotion. The strain GJ01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edling vigor on pepper, but the strain GJ11 in increasing the pepper fruit yield. The incidence of anthracnose was inhibited in the range of 63.2~72.5% by treatment of four bacterial isolates.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the four bacterial isolates could be used as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anthracnose disease of pepper.

Keyword



서론

국내 고추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지재배의 경우, 역병, 탄저병 등의 병해가 심각하게 발생하여 안정적인 고 추 생산에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이로 인한 농가 손실 과 국민 소비 부담을 증대시키고 있다. 병저항성 고추 품종 의 육종과 보급으로 역병에 대한 피해는 감소하고 있으나, 고추 탄저병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품종의 부재로 현재 고 추 생산에 있어 가장 심각한 피해가 야기되고 있다[1]. 고 추 탄저병은 연평균 30~40%의 이병율을 보이고 있으며, 심 한 경우 발생률이 60~70%에 이르러 고추의 수량 감소와 상품성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2].

고추 탄저병은 미숙과인 푸른 고추와 성숙과인 붉은 고추 에 발생하는 과실병으로 고추 결실과 수확시기 전반에 걸 쳐 큰 피해를 입힌다. 국내 고추 탄저병의 원인균은 Colletotrichum 속에 속하는 C. gloeosporioides, C. dematium, C. coccodes, 그리고 C. acutatum 등의 종들이 보고되고 있다 [3]. 그러나 최근에는 고추에 발생하는 탄저병균의 유전적 특성 분석과 종 특이적인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분석을 통해 C. acutatum이 우점하고 있음이 밝혀졌다[4]. 고추탄저병 방제를 위해서 저항성 신품종 개발 등의 지 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고추 생산은 유기합성 농약을 이용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5]. 유기합성 농약의 지속적인 시비 및 오용으로 인한 농업생 태계 오염 및 파괴,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획득, 농산물의 잔류농약 위해성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6-9]. 이를 대 체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농법의 일환으로 길항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러한 길항미생물은 용균작용이나, 항생물질 분비, 경쟁적 길항작용 또는 식물 저항성 유도 등을 통하여 식물병원성 미생물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2]. 최근에는 식물의 뿌리에 정착하여 식물생장촉진 뿐만 아니라, 동시 에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방제 효과를 지닌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PGPR)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3]. PGPR은 옥신(auxin)이나 사이 토키닌(cytokinin)과 같은 식물생장 호르몬을 생산하여 직 접적으로 식물 생장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다 주며[14, 15], 불용성 인산의 가용화와 2,3-butanediol과 같은 휘발성 물 질생산을 통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16, 17].

본 연구에서는 고추 탄저병의 친환경적인 재배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분리된 미생물 중 고추 탄저병의 균사 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한 길항미생물 4종을 선발하였다. 그 리고 길항미생물의 PGPR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추 종자에 대한 발아 및 초기 생장을 검정하였으며, 시험포장 에서 고추의 생장 효과를 검정하고 고추 탄저병의 방제 가 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의 방제와 친환경적인 재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재료 및 방법

고추탄저병균 및 길항미생물

고추탄저병균은 강원도 춘천시 소재의 탄저병에 걸린 고추 과실에서 분리하였다. 탄저병이 발생한 병반부와 건 전부위의 경계 조직을 5 × 5 mm 크기로 절단하여 70% ethanol에 1분간 침지한 후 1% 차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침 지하여 표면 살균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멸 균한 filter paper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water agar (1.5%)에 치상하여 25ºC에서 배양한 후 자라난 균사를 potato dextrose agar (PDA)에 접종하여 고추탄저병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고추탄저병균은 C. acutatum 특이 프라이머인 Ca1- 1 (5'-CAG GGG AAG CCT CTC GCG GGC CT-3')과 ITS4 (3'-TCC TCC GCT TAT TGA TAT GC-5') 프라이머 로 Kim 등[4]과 같은 방법으로 PCR하여 확인하였다. 이후 에 단포자 분리를 통해 순수 분리하였으며, PDA에서 7일 간 배양하여 생성된 포자들을 수거하여 만든 포자현탁액은 최종농도 15%가 되도록 glycerol을 첨가하여 -70ºC deep freezer에 보관하면서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 한 길항미생물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 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들로 선발하였다. Lee 등[18]이 분리한 Bacillus sp. GJ01, Paenibacillus polymyxa GJ10과 Han 등[19]이 분리한 B. amyloliquefaciens LB01, B. atrophaeus LB14를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판중인 미 생물제제(엑스텐 액상현탁제)를 구입하여 B. valismortis EXTN-1[20, 21]을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 하였다(Table 1).

Table 1. The list of bacterial strains used in this study

img/0100430407/ksom-43-04-07-i001.jpg

aAccession number is KACC91870P.

bAccession number is KACC92039P.

길항미생물의 균사생장 억제효과

고추탄저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기 위해 병원균을 PDA 배지에서 7일 간 암조건에서 배양한 후 균 사 끝 부분에서 4 mm 직경의 cork-borer로 agar plug를 떼 어내어 LB agar (Duchefa, Haarlem, Netherlands)와 PDA 를 50%씩 혼합한 PLA (PDA+LB)배지 한 가운데 접종하였 다. 그리고 25ºC, 암조건에서 하루를 배양시켰다. 이 후에 길항미생물을 접종하기 위하여 4 mm 직경의 cork-borer를 이용하여 PLA배지 가운데를 중심으로 3개의 구멍을 내었 다. LB-broth에서 28ºC, 200 rpm으로 배양한 길항미생물들 은 O.D (optical density)값 1.0으로 조정한 뒤에 20 μL씩 구멍에 접종하였다. Control은 LB-broth배지를 20 μL 접종 하였다. 그리고 25ºC에서 7일 동안 빛을 차단하여 배양하 였고, 자라나는 균사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균사생장 억제 율은 Han 등 [19]에 따라 계산하였다. TD (treatment distance) 는 길항미생물 접종 배지에서 자란 균사의 길이이며, CD (control distance)는 control 배지에서 자란 균사의 길 이이다. 각 실험은 3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균사생장 억제율(%) = (1 − TD / CD) × 100

고추발아율 및 초기생육에 대한 길항미생물의 효과

길항미생물이 고추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eedling vigour index를 측정하였다. 고추 종자 마니따(Heungnong, Pyeongtaek, Korea)를 30초 동안 1% 차염소산나트륨 용액으로 표면 살균하고, 증류수에 2~ 3회 세척하였다. 이 후에 9 cm 포트에 원예용 상토(Balokeo; Seoul Bio, Eumseong, Korea)를 담고 멸균시킨 종자를 30개씩 심고 배양된 길항미생물을 포트 당 10 mL 접종하 여 25ºC 생장상에서 빛 조건 16 hr, 암조건 8 hr으로 배양 하였다. 접종 7일 후에 종자의 발아율을 측정하였고 접종 15일 후에 발아된 종자에서 자란 지상부와 뿌리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생장지수는 Abdul-Baki 등[22]의 공식[생장지 수 = (뿌리 길이 + 지상부 길이) × 발아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모든 처리는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에서 고추 생장효과 검정 및 고추탄저병 방제효 과 검정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에 위치한 사양토 노지포장에서 시 험을 진행하였다. 2015년 5월 4일에 식물 생장효과를 시험 하는 포장과 고추탄저병 방제효과를 검정하는 포장 2곳에 마니따 품종의 유묘를 각각 120개씩 정식하였다. 정식 40 일 후부터 15일 간격으로 3회 길항미생물을 처리하였다. 고 추탄저병 방제효과 검정의 대조구로는 살균제 pyraclostrobin를 처리하였다. 길항미생물은 LB broth에 16시간 배양 하여 1×108 cfu/mL로 조정한 뒤 한 주당 20 mL씩 근권과 엽면에 골고루 살포하였다. 마지막 처리 15일 후에 생장촉 진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과실을 모두 수확한 후에 뿌리길이와 지상부 길이 그리고 생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수확한 과실의 수와 생체중을 측정하였다. 고추탄저병을 발병시키기 위하여 고추탄저병균의 포자현탁액을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1 × 106 conidia/mL으로 맞추어 준비 하고 2차 처리 3일 후에 주당 10 mL씩 엽면과 과실에 스프 레이 접종하여 발병을 유도하였다. 고추탄저병에 대한 이 병율은 길항미생물의 마지막 처리 15일 후에 과실의 전수 조사(처리구 당 100개 이상)로 고추탄저병의 이병율을 측 정하였다. 방제가는 [(무처리구의 이병율 미생물 처리구의 이병율) / 무처리구의 이병율)] × 100의 계산식으로 수행하 였으며, 모든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통계분석

각 처리구 평균간의 차이에 의한 유의성 검정은 SAS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한 Duncan의 다중검정방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5% 수준 에서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길항미생물의 균사생장 억제효과

선발된 길항미생물 4개 균주와 대조균주 1개에 대하여 고추탄저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대치배양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Fig. 1A). PDA배지 plate 한 가운데 분리한 고추탄저병균을 접종하 고 주위 3군데에 O.D 1.0의 길항미생물을 떨어뜨려 병원균 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LB01이 59.0%의 균사생 장 억제로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GJ11과 EXTN-1 이 각각 57.6%와 57.5%로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LB01과 GJ11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EXTN-1과 통계적으로 차 이가 없으므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다 른 나머지 GJ01과 GJ14는 50% 이상의 균사생장 억제효과 를 보였다(Fig. 1B). 고추탄저병균에 대한 4개 균주들의 길 항성이 확인되어 포장시험 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img/0100430407/ksom-43-04-07-g001.jpg

Fig. 1. Antifungal activity for in vitro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Colletotrichum acutatum by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 Dual culture assay. C. acutatum were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PDA) plates at 25ºC for 7 days, then a mycelial disc was cut and placed center of LPA (LB + PDA) plate. LPA plates contained holes (4 mm in diameter) made with a cork borer. Bacterial strains were inoculated in the holes for plate. Results are shown for: a, Bacillus sp. GJ01; b, Paenibacillus polymyxa GJ11; c, B. amyloliquefaciens LB01; d, B. atrophaeus LB14; e, B. vallismortis EXTN-1; f, Control. B, Measurement of inhibition effects of bacterial isolates on mycelial growth of C. acutatum. Inhibition zones were measured after incubation at 25ºC for 7 days. Error bars represent standard deviations of three replicates. Different letters on ba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고추종자 발아율 및 초기생육 효과

선발된 균주들의 고추종자에 대한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seedling vigour index 시험 결 과(Table 2), GJ01 처리구에서 고추 종자의 발아율은 93.3% 로 가장 높았으며, LB14 처리구의 발아율은 89.0%로 나타 났다. 대조 균주인 EXTN-1은 90.3%로 나타났으며, LBbroth 만을 동일한 양으로 처리하였을 때 91.0%의 발아율 을 보였으며, 무처리구에서 88.0%로 나타났다. 종자 발아 이후의 초기생육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뿌리 길이와 지 상부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뿌리 길이는 GJ11 처리구 가 3.00 cm로 가장 길게 자랐으며, 그 외 균주 처리구의 뿌 리 길이는 2.13~2.36 cm였으며, 반면에 EXTN-1 처리구는 2.46 cm, LB-broth 처리구는 2.13 cm, 무처리구는 2.32 cm 로 나타났다. 지상부 길이는 GJ01 처리구가 8.18 cm로 가 장 우수하였고 GJ11과 LB01이 각각 7.24 cm와 7.47 cm이 였으며, 무처리구에 비교하여 많이 자란 것을 확인하였다. LB14 처리구에서는 지상부 길이가 6.76 cm이었으며, 이는 다른 3개 균주 처리구보다 비교적 느린 생장을 보였다. EXTN-1 처리구의 지상부 길이는 7.57 cm, LB-broth 처리 구는 6.86 cm, 무처리구는 6.04 cm의 지상부 생장을 보였 다. 이를 이용하여 vigour index 값을 계산해 본 결과, 건전 한 고추경작지 토양에서 분리된 GJ01과 GJ11는 각각 무처 리 대비 133.6%와 128.5%의 vigour index의 증가 효과를 보 였다. 그리고 갯벌에서 분리된 LB01과 LB14는 각각 117.4% 와 108.4%로 증가효과는 보였지만 토양에서 분리된 균주 2종보다는 비교적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Table 2. Effect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on seedling vigour and seed germination

img/0100430407/ksom-43-04-07-i002.jpg

aVigour index = (shoot length + root length) × germination (%).

bValues are means ± standard errors, calculated from three independent observations. Those sharing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포장에서 식물 생장효과 검정

고추 포장에서 길항미생물의 식물 생장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정식 40일 후에 15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그 리고 최종처리 15일 후에 뿌리 길이와 식물체 길이 그리고 생체중을 측정하였다(Table 3). 뿌리길이를 확인한 결과 EXTN-1 처리구의 뿌리 길이가 22.0 cm로 가장 길었고, GJ11 처리구는 20.3 cm이었다. GJ01, LB14 그리고 LB01 처리구는 각각 19.3 cm, 17.3 cm 그리고 16.7 cm로 14.3 cm인 무처리구보다 길게 자라 뿌리생장에 효과가 있는 것 을 확인하였다. 고추 식물체의 길이를 측정하여 생장효과 를 검정한 결과 GJ01, GJ11 그리고 EXTN-1 처리구는 각각 64.0 cm, 62.7 cm 그리고 61.3 cm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우수한 생장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식물체의 생체중을 측정한 결과 GJ11, LB14, EXTN-1 그리고 GJ01 처리구가 각각 96.3 g, 95.3 g, 91.7 g 그리고 85.3 g으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우수한 생장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길항미생 물 처리로 식물의 생장이 촉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 로 고추과실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실의 개수와 무게를 측정하였다(Table 3). 한 주당 고추 과실의 수는 GJ11 처리구가 23.0개로 가장 많았으며, LB 01, GJ01, 그리고 LB14 처리구는 각각 22.0개, 21.8개 그리 고 19.5개였다. EXTN-1 처리구는 GJ01 처리구와 동일한 21.8개였다. 무처리구의 한 주당 고추과실의 개수는 17.0개 로 길항미생물을 처리하였을 때 114.7~128.2%의 수량증대 효과를 보였다. 한 주당 고추과실의 무게는 수량이 가장 많 은 GJ11 처리구가 383.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GJ01, LB 01 그리고 LB14 처리구는 각각 362.4 g, 358.3 g 그리고 326.7 g이였다. 반면에 LB-broth와 무처리구 고추과실의 무 게는 각각 274.5 g과 264.3 g으로 길항미생물 처리로 인하 여 고추과실의 생산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3. Effect of bacterial treatment with PGPR on growth parameters of pepper under field conditions

img/0100430407/ksom-43-04-07-i003.jpg

PGPR,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aValues are means ± standard errors, calculated from three independent observations. Those sharing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포장에서 고추 탄저병의 방제효과

포장에서 고추 탄저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 여 길항미생물들과 양성대조군(EXTN-1) 그리고 살균제 (pyraclostrobin)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Table 4). 그 결과 LB01 처리구의 고추 탄저병 방제효과가 72.5%로 가장 우수 하였으며, GJ11 처리구와 EXTN-1 처리구는 각각 70.8%와 70.6%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LB14 처리구와 GJ 01 처리구는 각각 67.8%와 63.2%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살 균제 처리구는 92.2%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무처리구의 발 병율은 46.0%로 방제가를 평가하기에 충분히 발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길항미생물들은 고추의 친환경적 인 재배에 적용 가능한 대체 약제로서 가능성이 있으며, 그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Table 4. Effect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on reduction of anthracnose incidence in pepper fruits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field

img/0100430407/ksom-43-04-07-i004.jpg

aValues are means±standard errors, calculated from three independent observations. Those sharing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bThe used fungicide is pyraclostrobin.

고 찰

고추는 우리나라에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작물이지만 최 근 재배면적과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감소하고 있다[23]. 고추의 수확량 감소에 큰 영향을 주는 고추 탄저병의 방제 를 위하여 관행적으로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살균제는 적은 양으로도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병 방제 및 수확량 증대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안전한 농작물에 대 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농약 사용을 대체할 수 있 는 친환경적인 방제 전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4-2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분리 된 길항미생물들 중 in vitro에서 고추탄저병균에 길항성 을 보이는 균주를 이용하여 고추 작물에 대한 생장촉진 효 과와 더불어 고추 탄저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 였다.

고추탄저병균과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생장 억제능력을 보인 4개의 균주는 건전한 고추 포장의 토양과 서해안 갯 벌에서 분리된, Bacillus 속의 3종(GJ01, LB01, LB14)과 P.polymyxa (GJ11)이다(Table 1). 그리고 Bacillus vallismortis EXTN-1은 생장촉진 효과와 함께 광범위한 식물 병에 방제 효과가 보고되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20, 21]. 선발 된 4개의 길항미생물은 고추탄저병균의 균사 생장을 효과 적으로 억제하였다(Fig. 1). 이는 길항미생물이 생산하는 항 생물질[28, 29]과 더불어 휘발성 물질[30, 31] 등으로 고추 탄저병균의 균사를 더 이상 자라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보 인다. 예를 들어, Bacillus subtilis JA균주는 2-ethyl-hexanol, 2, 4-bis (2-methylpropyl)-phenol 등 14종의 휘발성 물질을 생성하여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 발아와 발아관 신장을 억 제한다는 보고가 있으며[30], B. amyloliquefaciens NJN-6균 주는 Fusarium oxysporum f. sp. cubense의 포자 발아와 생 장을 억제한다고 보고된바 있다[31]. 따라서 고추탄저병균 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길항미생물 4종에 대한 휘발성 물질의 생성 및 억제 활성 능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 요한 것으로 보인다.

선발된 길항미생물 4종의 식물생장촉진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종자발아와 생육 초기단계의 생장촉진효과, 그리고 포장에서 생장촉진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 길 항미생물 4종 모두 무처리와 비교하여 생육초기부터 수확 기까지 생장촉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 3). 국내 연구에 의해 건전한 경작지 토양의 미생물상이 속 수 준까지 분류되어 상대적으로 Pseudomonas 속, Bacillus 속, Azotobacter 속, Actinomyces 속 등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 다[32]. 이것은 토양 내에서 유익한 미생물과 식물의 상호 작용으로 토양의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 미한다[33]. 그리고 식물생장촉진을 일으키는 식물생장촉 진세균(PGPR)은 직접적으로 질소고정[34], 무기인산 가용 화[35], 옥신(auxin), 시토키닌(cytokinin) 등의 식물호르몬 [4, 17] 생산 그리고 siderophore를 생산하여 철성분 흡수 로 유해 미생물과 경쟁적 길항작용으로 영향을 준다[36]. 또한 간접적으로는 식물 뿌리의 막 전위를 감소시키고 식 물이 생산하는 에틸렌 전구체 ACC (amino-cyclopropane carboxylic acid)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ACC deaminase 를 생산하여 스트레스환경의 적응 및 식물성장을 증진한다 [37, 38]. 선발미생물 4종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siderophore 의 생성을 확인하였고, GJ11을 제외한 나머지 세 균주는 불 용성 인산을 가용화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식물 의 생장촉진 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8, 19]. 포장에서 고추 탄저병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길 항미생물 4종 모두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식물병 방제에 식물생장촉진세균은 유해한 식물병원균보다 밀도를 우점하 여 경쟁적으로 병원균의 감염을 방지하고 부생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그리고 기주식물의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을 유도하거나 항생물질[28, 29] 및 다양한 분해효소 들을 생성하여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12, 15, 39]. 이전 연구를 통하여 LB01과 LB14 두 균주 모두 프로테아 제(protease)의 분비를 확인하였으며, LB01은 셀룰로오즈 (cellulose)의 분해활성이 우수하였고, LB14는 키틴(chitin) 을 분해하는 등의 여러 효소를 생성하였다[19]. 이러한 식물 생장촉진세균의 다양한 기능들을 통하여 선발된 길항미생 물들도 포장에서 고추 탄저병 방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분리된 미생물 중 고추탄저병 균의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미생물 4종을 선발하였다. 그리 고 고추 탄저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였고, 고추의 상 품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제방법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갯벌에서 분리된 길항미생 물 2종(LB01, LB14)은 내륙의 고추포장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내염성 균주[40]로써 간척지 등의 염분조 건에서도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 산업적 활용 적용 범위 및 기술 제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적 요

고추 탄저병은 국내 고추재배에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며, Colletotrichum acutatum이 주요 원인균이다. 본 연구에서 는 포장에서 고추탄저병의 방제와 식물생장촉진효과를 선 발된 길항미생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4개의 길항미생 물은 이전 연구를 통하여 고추포장(GJ01, GJ11)과 갯벌(LB 01, LB14)에서 선발하였다. 4개의 길항미생물은 대조균주 EXTN-1을 포함하여 C. acutatum과 대치배양에서 길항효 과를 보였다. 식물생장촉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추종자 의 발아율과 초기생장효과, 그리고 포장에서 식물의 생장 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선발균주는 모두 식물생 장효과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GJ01은 초기생육에서 가장 높은 생장효과를 보였으며, GJ11은 포장에서 가장 높은 고 추수확량을 얻었다. 그리고 포장에서 탄저병의 방제효과는 4개의 길항미생물 처리에 의해 63.2~72.5%의 방제가를 보 였다. 현재 연구를 토대로 4개의 길항미생물은 고추 탄저병 에 대한 잠재적인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 었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PJ00932405) fu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y a grant(314027-03-2-HD050) funded by Export Promo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Ministry of Agriculture,Food and Rural Affairs, and by BioHerb Research Institute,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1  Jee HJ, Shin SS, Lee JH, Kim WI, Hong SJ, Kim YK. Conidial disperse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its density on infected fruits. Res Plant Dis 2010;16:101-5. 

2 Park H. Breeding of anthracnose-resistant lines by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chile pepper (Capsicum spp.). Annu Rep Res Agric Life Sci 2001;5:40-2. 

3 Choi YH, Kim HT, Kim JC, Jang KS, Cho KY, Choi GJ. In vitro antifungal activities of 13 fungicides against pepper anthracnose fungi. Kor J Pestic Sci 2006;10:36-42. 

4 Kim JT, Park SY, Choi WB, Lee YH, Kim HT.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isolates causing anthracnose of pepper in Korea. Plant Pathol J 2008;24:17-23. 

5 Mahoney MJ, Tattar TA. Identification, etiology, and control of Euonymus fortunei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lant Dis 1980;64:854-6. 

6 Jang MR, Moon HK, Kim TR, Yuk DH, Kim JH, Park SG. Dietary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of vegetables in Seoul, Korea. Kor J Nutr 2010;43:404-12. 

7 Jung MK, Oakley BR. Identification of an amino acid substitution in the benA, beta-tubulin gene of Aspergillus nidulans that confers thiabendazole resistance and benomyl supersensitivity.Cell Motil Cytoskeleton 1990;17:87-94. 

8 Kegley SE, Neumeister L, Martin T. Disrupting the balance:ecological impacts of pesticides in California. San Francisco: Pesticide Action Network North America Regional Center;1999. 

9 Miles S, Frewer LJ. Investigating specific concerns about different food hazards. Food Qual Prefer 2001;12:47-61. 

10 Chet I, Ordentlich A, Shapira R, Oppenheim A. Mechanisms of bio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by Rhizobacteria. Plant Soil 1990;129:85-92. 

11 Raaijmakers JM, Vlami M, de Souza JT. Antibiotic production by bacterial biocontrol agents. Antonie Van Leeuwenhoek 2002;81:537-47. 

12  Watanabe T, Oyanagi W, Suzuki K, Tanaka H. Chitinase system of Bacillus circulans WL-12 and importance of chitinase A1 in chitin degradation. J Bacteriol 1990;172:4017-22. 

13 Lugtenberg B, Kamilova F. Plant-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Annu Rev Microbiol 2009;63:541-56. 

14 Jung HK, Kim JR, Woo SM, Kim SD. An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 18 which has siderophore-producing biocontol activ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06;34:94-100. 

15 Jung HK, Kim JR, Woo SM, Kim SD. Selection of the auxin, siderophore, and cellulase-producing PGPR, Bacillus licheniformis K11 and its plant growth promoting mechanisms. J Kor Soc Appl Biol Chem 2007;50:23-8. 

16 Halder AK, Mishra AK, Bhattacharyya P, Chakrabartty PK. Solubilization of rock phosphate by Rhizobium and Bradyrhizobium. J Gen Appl Microbiol 1990;36:81-92. 

17 Ryu CM, Farag MA, Hu CH, Reddy MS, Wei HX, Paré PW,Kloepper JW. Bacterial volatiles promote growth in Arabidopsis. Proc Natl Acad Sci USA 2003;100:4927-32. 

18 Lee GJ, Han JH, Shin JH, Kim HT, Kim KS.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GJ-1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Kor J Mycol 2013;41:112-7. 

19 Han JH, Shim HS, Shin JH, Kim KS. Antagonistic activities of Bacillus spp. strains isolated from tidal flat sediment towards anthracnose pathogen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in South Korea. Plant Pathol J 2015;31:165-75. 

20 Park KS, Paul D, Kim YK, Nam KW, Lee YK, Choi HW, Lee SY. Induced systemic resistance by Bacillus vallismortis EXTN-1 suppressed bacterial wilt in tomato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Plant Pathol J 2007;23:22-5. 

21 Park KS, Paul D, Yeh WH. Bacillus vallismortis EXTN-1-mediated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rice. Plant Pathol J 2006;22:278-82. 

22 Abdul-Baki AA, Anderson JD. Vigor determination in soybean seed by multiple criteria. Crop Sci 1973;13:630-3. 

23 Statstics Korea. Kor_news [Internet]. Daejeon: Statstics Korea; 2014 [cited 2015 Jun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7/8/index.board?bmode=read&aSeq=349908 

24 Cho SJ, Lee SK, Cha BJ, Kim YH, Shin KS.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loeosporium gloeosporioides growth inhibitory compound iturin A from Bacillus subtilis strain KS03. FEMS Microbiol Lett 2003;223:47-51. 

25 Freeman S, Minz D, Kolesnik I, Barbul O, Zveibil A, Maymon M, Nitzani Y, Kirshner B, Rav-David D, Bilu A, et al.Trichoderma biocontrol of Colletotrichum acutatum and Botrytiscinerea and survival in strawberry. Eur J Plant Pathol2004;110:361-70. 

26 Kim PI, Bai H, Bai D, Chae H, Chung S, Kim Y, Park R, Chi YT.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ipopeptide produced by Bacillus thuringiensis CMB26. J Appl Microbiol 2004;97:942-9. 

27 Tendulkar SR, Saikumari YK, Patel V, Raghotama S, MunshiTK, Balaram P, Chattoo BB.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molecule produced by Bacilluslicheniformis BC98, and its effect on phytopathogen Magnaporthe grisea. J Appl Microbiol 2007;103:2331-9. 

28 Besson F, Hourdou ML, Michel G. Studies on the biosynthesis of iturin, an antibiotic of Bacillus subtilis, and alipopeptidecontaining beta-hydroxy fatty acids. Biochim Biophys Acta 1990;1036:101-6. 

29 Eshita SM, Roberto NH, Beale JM, Mamiya BM, WorkmanRF. Bacillomycin Lc, a new antibiotic of the iturin group: isolations, structures,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congeners. J Antibiot (Tokyo) 1995;48:1240-7. 

30 Chen H, Xiao X, Wang J, Wu L, Zheng Z, Yu Z. Antagonistic effects of volatiles generated by Bacillus subtilis on spore germination and hyphal growth of the plant pathogen, Botrytiscinerea. Biotechnol Lett 2008;30:919-23. 

31 Yuan J, Raza W, Shen Q, Huang Q.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amyloliquefaciens NJN-6 volatile compounds against Fusariumoxysporum f. sp. cubense. Appl Environ Microbiol 2012;78:5942-4. 

32 Suh JS, Shin JS. Soil microbial diversity of paddy fields in Korea. Kor J Soil Sci Fert 1997;30:200-7. 

33 Doran JW, Zeiss MR. Soil health and sustainability: managing the biotic component of soil quality. Appl Soil Ecol 2000;15:3-11. 

34 Malik KA, Bilal R, Mehnaz S, Rasul G, Mirza MS, Ali S. Association of nitrogen-fixing, plant-growth-promoting rhizobacteria(PGPR) with kallar grass and rice. Plant Soil 97;194:37-44. 

35 Rodríguez H, Fraga R.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nd their role in plant growth promotion. Biotechnol Adv 1999;17:319-39. 

36 Kloepper JW, Leong J, Teintze M, Schroth MN. Pseudomonassiderophores: a mechanism explaining disease-suppressivesoils. Curr Microbiol 1980;4:317-20. 

37 Glick BR, Cheng Z, Czarny J, Duan J.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ACC deaminase-producing soil bacteria. Eur J Plant Pathol 2007;119:329-39. 

38 Saleem M, Arshad M, Hussain S, Bhatti AS. Perspective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containing ACC deaminase in stress agriculture. J Ind Microbiol Biotechnol2007;34:635-48. 

39 Than PP, Del Castillo CS, Yoshikawa T, Sakata T. Extracellularprotease production of bacteri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Fish Sci 2004;70:659-66. 

40 Nakbanpote W, Panitlurtumpai N, Sangdee A, Sakulpone N,Sirisom P, Pimthong A. Salt-tolerant and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isolated from Zn/Cd contaminated soil: identification and effect on rice under saline conditions. J Plant Interact 2014;9:37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