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Yeasts Isolated from Leaves of Trees of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in Daejeon, Korea

한 상민  Sang-Min Han1이 종수  Jong-Soo Lee1

Abstract

Twenty-two yeast strains of 15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20 trees on Oknyeobong Peak, and 24 yeast strains of 12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20 trees on Yeonjasan Mountain in Daejeon city, Korea. Cryptococcus bestiolae (5 strains) and Aureobasidium pullulans (8 strains) were the predominant isolates from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respectively. Of a total of 46 yeast strains, 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 Cryptococcus vishniacii JSL509, and Dioszegia takashimae JSL510 from Okyeobong Peak, and Plowrightia periclymeni JSL514, Erythrobasidium hasegawanium JSL0193, and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 from Yeonjasan Mountain were determined to be yeast strains that were yet unrecorded in Korea.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unrecorded yeasts were investigated. Erythrobasidium hasegawanium JSL0193 and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 did not form ascospores and pseudomycelia. All the strains, except Dioszegia takashimae JSL510, were halotolerant or halophilic, and 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 and Dioszegia takashimae JSL510 were thermophilic, growing at 37°C.

Keyword



서  론

지금까지의 효모는 대부분 전통발효식품이나 이들의 주, 부원료 등에서 분리되어 Saccharomyces cerevisiaeZygosaccharomyces rouxii 등이 주류와 일부 장류 등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1-5]. 또한 최근 필자 등이 전국 자연환경에 분포하고 있는 야생 효모들을 분리하여 한국의 효모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이들을 고부가 가치의 의약이나 건강산업 등으로의 응용성을 검토하고자 우리나라 하천과 논밭, 주요 섬과 산들의 다양한 꽃들로부터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여 이들의 특성과 종 다양성을 제시하였다[6].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서부지역에 위치한 옥녀봉과 연자산 나뭇잎들의 효모 분포를 조사함으로써, 새로운 효모 자원을 확보함과 동시에 나뭇잎과 효모의 생태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대전광역시 서구 도안동에 있는 옥녀봉과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동에 있는 연자산 나뭇잎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이들 분리 효모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야생효모의 분리는 먼저 이들 시료 나뭇잎들 각각 멸균튜브에 채취한 후, 5 mL의 멸균수를 넣고 1시간 동안 진탕하여 현탁액을 얻었다. 현탁액 일부를 스트렙토마이신(50 µg/mL)과 앰피실린(50 µg/mL)이 들어 있는 yeast extract-peptone dextrose 한천배지에 도말하고 30°C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육된 효모 집락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효모의 동정은 26S rDNA의 D1/D2 부위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후 염기서열들을 NCBI의 BLAST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효모들과의 분자생물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최종 동정하였다[7].

위와 같이 대전광역시 연자산과 옥녀봉의 나뭇잎들로부터 분리한 야생 효모들을 대상으로 국립생물자원관 DB와 RISS, PubMed 및 배재대학교 도서관 등의 한국 균학 관련 논문 자료들을 이용하여 국내에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균주들을 확인하여 국내 미기록 효모로 최종 선별하였다[8]. 선발된 미기록 효모들에 대하여 일반 미생물 실험방법 등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징과 배양 및 생리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9,10].

결과 및 고찰

대전광역시 옥녀봉과 연자산 나뭇잎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동정

대전광역시 옥녀봉에서 편백(Chamaecyparis obtusa), 소나무(Pinus densiflora),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매자나무(Berberis koreana),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개암나무(Corylus heterophylla),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밤나무(Castanea crenata) 등에서 채취한 20점의 나뭇잎들로부터 15종에 속하는 22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하였다(Table 1). 이들 가운데 Cryptococcus bestiolae의 5균주를 포함한 Cryptococcus속 균이 모두 7균주로 가장 많았고 Candida속 균도 3균주가 분리되었다.

Table 1. Yeasts isolated from tree leaves of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in Korea.

http://dam.zipot.com:8080/sites/kjom/files/N0320450103_image/Table_45_01_03_T1.jpg

또한, 대전광역시 연자산의 소나무, 박달나무, 은행나무(Ginkgo biloba), 동백나무, 먼나무(Ilex rotunda), 목서(Osmanthus fragrans),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철쭉, 밤 나무들의 잎 20점을 수집하여 이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Table 1과 같이 모두 12종 24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 Aureobasidium pullulans의 8균주를 포함한 Aureobasidium속 균이 9균주로 가장 많았고 위의 옥녀봉 나뭇잎들로부터 분리된 효모들과 같이 Cryptococcus속 균이 5균주로 역시 많이 분리되었다.

위와 같이 나뭇잎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Cryptococcus속 균들은 필자 등[11-17]이 우리나라 주요 산이나 하천, 들녘의 야생화들에서도 가장 많이 분리된 효모들로서 자연계의 꽃이나 나뭇잎들의 효모 분포특성이 일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선별 및 특성

위와 같이 대전광역시 옥녀봉과 연자산의 나뭇잎들로 분리한 46균주의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효모들을 선별한 결과 연자산에서 분리한 효모 중에서는 Plowrightia periclymenis JSL514와 Erythrobasidium hasegawanum JSL0193,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 등 3균주의 야생효모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로 선별되었고 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과 Cryptococcus vishniaeii JSL509, Dioszegia takashimae JSL510 등이 옥녀봉에서 분리한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의 계통수는 Fig. 1과 같고 국내에서 이미 보고된 같은 속 균과 26S rDNA의 D1/D2부위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을 때 이들이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균주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ttp://dam.zipot.com:8080/sites/kjom/files/N0320450103_image/Figure_45_01_03_F1.jpg

Fig. 1. Phylogenetic tree of six unrecorded yeasts isolated from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26S ribosomal DNA. The tree was generated by the neighbor-joining method, using MEGA7. The numbers above or below branches mean the bootstrap supporting values.

한편, 이들 미기록 효모들의 형태적,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Table 2와 같이 형태는 일반 효모들의 전형적인 구형과 난형이었고 출아법으로 영양증식을 하였으며 Erythrobasidium hasegawanum JSL0193과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만이 무포자 효모이고 의균사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은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와 yeast extract-malt extract, potato-dextrose 배지에서 생육하지 못하였고 Dioszegia takashimae JSL510 외 모든 미기록 효모들이 5~10% NaCl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또는 내염성 효모들이었다. Cryptococcus kutzingii JSL508과 Dioszegia takashimae JSL510은 37°C에서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들이었다. 이들 호염성 그리고 고온성 효모들은 앞으로 내염성 또는 내열성의 효소생산 등의 산업적 이용성이 클 것으로 생각되어 이들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six unrecorded yeasts isolated from tree leaves of Oknyeobong Peak and Yeonjasan Mountain in Korea

http://dam.zipot.com:8080/sites/kjom/files/N0320450103_image/Table_45_01_03_T2.jpg

한편, 이들 국내 미기록 효모들에 대한 외국학술지 보고로는 먼저 Inácio 등[18]은 배양 비 의존적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법을 이용하여 지중해 식물의 잎에서 Erythrobasidium hasegawanum을 분리하였고 Rhodotorula nothofagi는 코르크 스토퍼 제조시 배출되는 오크나무 껍질로부터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19]. 또한 Mylonakis 등[20]은 선충인 Caenorhabditis elegansCryptococcus kuetzingii 등의 다양한 효모들을 영양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고, Apidianakis 등[21]은 Drosophilia melanogaster가 Cryptococcus neoformans을 이용할 수 있지만 Cryptococcus kutzingii는 소화시키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였다. Booth와 Vishniac[22]은 Cryptococcus vishniacii가 urease를 생성하였다고 보고하였고, Madhour 등[23]은 Dioszegia takashimae와 근연의 효모인 Dioszegia sp.의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에 관하여 보고하였다.

적  요

 각종 나뭇잎들의 효모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서부지역에 위치한 옥녀봉과 연자산의 나뭇잎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로부터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옥녀봉의 나뭇잎 20점으로부터 15종 22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 동정하였고 Cryptococcus bestiolae가 5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또한 연자산 나뭇잎 20점에서는 모두 12종 24균주의 야생효모를 분리하였고 Aureobasidium pullulans가 8주로 가장 많았다. 옥녀봉과 연자산에서 분리한 야생효모 46균주 중에서 6종(Cryptococcus kuetzingii JSL508, Cryptococcus vishniacii JSL509, Dioszegia takashimae JSL510, Plowrightia periclymeni JSL514, Erythrobasidium hasegawianum JSL0193, Rhodotorula nothofagi JSL0196)을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하였다.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E. hasegawianum JSL0196은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다. D. JSL510 외 모든 미기록 효모들은 내염성 또는 호염성이었고, C. JSL508과 D. JSL510은 37°C에서 생육하는 고온성 효모들이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1 Lee JS, Yi SH, Kwon SJ, Ahn C, Yoo JY.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yeasts from traditional Meju.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997;25:448-53. 

2 Jeong SC, Kim JH, Kim NM, Lee JS. Production of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Malassezia pachydermatis G-14. Mycobiology 2005;33:142-6. 

3 Lee DH, Lee JS, Yi SH, Lee JS. Production of the acety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Yarrowia lipolytica S-3. Mycobiology 2008;36:102-5. 

4 Lee JS, Hyun KW, Jeong SC, Kim JH, Choi YJ, Miguez CB. Production of ribonucleotides by autolysis of Pichia anomala mutant and physiological activites. Can J Microbiol 2004;50:489-92. 

5 Kim JH, Kim NM, Lee J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fermentation of thermo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from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Nutr 1999;12:490-5. 

6 Hyun SH, Han SM, Kim HK, Lee JS. Yeasts diversity of wild flowers in mountains of Korea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Kor J Mycol 2015;43:137-41. 

7 Han SM, Han JW, Bae SM, Park WJ, Lee J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oils of paddy field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Korea. Kor J Mycol 2016;44:1-7. 

8 Han SM, Lee J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unrecorded yeasts from mountains soi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 cheongnam-do, Korea. Kor J Mycol 2016;44:138-44. 

9 Hyun SH, Min JH, Lee HB, Kim HK, Lee JS. Characteristics of two unrecorded yeasts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Korea. Kor J Mycol 2014;42:170-3. 

10 Hyun SH, Lee JS.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Yokjido, Korea. Mycobiololgy 2014;42:198-202. 

11 Min JH, Ryu JJ, Kim HK, Lee J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ejoksan, Oseosan and Beakamsan of Korea. Kor J Mycol 2013;41:47-51. 

12 Hyun SH, Han SM, Lee JS. Isol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ally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Seonyudo of Gogunsanyeoldo, Jeollabuk-do, Korea. Kor J Mycol 2014; 42:201-6. 

13 Hyun SH, Min JH, Lee HB, Kim HK, Lee JS. Isolation and diversity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Ulleungdo and Yokjido, Korea. Kor J Mycol 2014;42:28-33. 

14 Hyun SH, Mun HY, Lee HB, Kim HK, Lee JS. Isol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onggi-do province and Jeju island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3;41:383-90. 

15 Hyun SH, Lee JG, Park WJ, Kim HK, Lee JS. Isolation and diversity of yeasts from fruits and flowers of orchard in Sinammyeon of Yesan-gun, Cungcheongnam-do, Korea. Kor J Mycol 2014;42:21-7. 

16 Hyun SH, Min JH, Kim SA, Lee JS, Kim HK. Yeasts associated with fruits and blossoms collected from Hanbat arboretum, Daejeon, Korea. Kor J Mycol 2014;42:178-82. 

17 Min JH, Hyun SH, Kang MG, Lee HB, Kim CM, Kim HK, Lee J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of Daejeon city and Chungcheongnam-do in Korea. Kor J Mycol 2012;40:141-4. 

18 Inácio J, Ludwig W, Spencer-Martins I, Fonseca A. Assessment of phylloplane yeasts on selected Mediterranean plants by FISH with group- and species-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s. FEMS Microbiol Ecol 2010;71:61-72. 

19 Villa-Carvajal M, Coque JJ, Alvarez-Rodríguez ML, Uruburu F, Belloch C. Polyphasic identification of yeasts isolated from bark of cork oak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ork stoppers. FEMS Yeast Res 2004;4:745-50. 

20 Mylonakis E, Ausubel FM, Perfect JR, Heitman J, Calderwood SB. Killing of Caenorhabditis elegans by Cryptococcus neoformans as a model of yeast pathogenesis. Proc Natl Acad Sci USA 2002;99:15675-80. 

21 Apidianakis Y, Rahme LG, Heitman J, Ausubel FM, Calderwood SB, Mylonakis E. Challenge of Drosophila melanogaster with Cryptococcus neoformans and role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Eukaryot Cell 2004;3:413-9. 

22 Booth JL, Vishniac HS. Urease testing and yeast taxonomy. Can J Microbiol 1987; 33:396-404. 

22 Madhour A, Anke H, Mucci A, Davoli P, Weber RW. Biosynthesis of the xanthophyll plectaniaxanthin as a stress response in the red yeast Dioszegia (Tremellales, Heterobasidiomycetes, Fungi). Phytochemistry 2005;66:2617-26.